코드스테이츠-부트캠프 [Web Server](1)

김희목·2024년 3월 8일
0

코드스테이츠

목록 보기
24/56

CORS, SOP

혹시 콘솔창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를 보신 적 있나요? 웹 개발을 하다 보면, 이 에러를 적어도 한 번쯤은 겪게 되고, 그리고 높은 확률로 이 에러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경험을 하게 되실 텐데요. 바로 CORS 에러입니다.

CORS가 대체 뭐길래 이런 에러를 띄우는 건지 알아보기 전에, CORS가 필요하게 된 배경인 SOP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합시다.


SOP

SOP은 Same-Origin Policy의 줄임말로, 동일 출처 정책을 뜻합니다.

한 마디로 ‘같은 출처의 리소스만 공유가 가능하다’라는 정책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출처(Origin)’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는 프로토콜, 호스트, 포트의 조합으로 되어있습니다. 이 중 하나라도 다르면 동일한 출처로 보지 않습니다. 예시를 들어 이해해 봅시다.

그렇다면 SOP은 왜 생겨났을까요? 동일 출처 정책은 잠재적으로 해로울 수 있는 문서를 분리함으로써 공격받을 수 있는 경로를 줄여줍니다.

SOP을 통해 해킹 등의 위협에서보다 더 안전해질 수 있다는 것인데요. 왜 그런지 알아보기 위해서 동일 출처 정책이 없는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여러분이 네이버 같은 웹 페이지에 로그인해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해봅시다. 서비스 이용 중이 아니더라도 로그아웃을 깜빡했거나 자동 로그인 기능으로 인해 브라우저에 로그인 정보가 남아있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 상태에서 여러분의 로그인 정보를 노리는 코드가 있는 다른 사이트에 방문하게 된다면? 해커는 여러분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해서 네이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계정으로 블로그나 카페에 좋지 않은 글을 올리게 될 수도, 수천 명에게 스팸 메일을 보낼 수도 있는 것입니다.

SOP이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SOP은 애초에 다른 사이트와의 리소스 공유를 제한하기 때문에 로그인 정보가 타 사이트의 코드에 의해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안상 이점 때문에 SOP은 모든 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정책입니다.

그런데, 다른 출처의 리소스를 사용하게 될 일은 너무나도 많습니다. 당장 로컬 환경에서 개발할 때에도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따로 개발하게 된다면 둘은 출처가 달라집니다.

개발 중인 웹 사이트에서 네이버 지도 api를 사용하고 싶다면? github 정보를 받아와서 사용하고 싶다면? 모두 다른 출처의 리소스를 사용해야 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말했듯 모든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SOP 정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다른 출처의 리소스를 받아올 수 있을까요?


CORS

위 문제 상황에서 필요한 것이 바로 CORS입니다.

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줄임말로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를 뜻합니다.
MDN에서는 CORS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선택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입니다.

즉, 브라우저는 SOP에 의해 기본적으로 다른 출처의 리소스 공유를 막지만, CORS를 사용하면 접근 권한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처음에 봤던 에러를 다시 한번 살펴볼까요?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에러를 쉽고 친절하게 풀어서 쓰면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다른 출처의 리소스를 가져오려고 했지만 SOP 때문에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CORS 설정을 통해 서버의 응답 헤더에 ‘Access-Control-Allow-Origin’을 작성하면 접근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즉, 이 에러는 CORS 때문이 아니라, SOP 때문입니다. CORS는 오히려 이 에러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이었던 것이죠! 그럼, CORS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CORS 동장 방식

CORS의 동장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프리플라이트 요청

실제 요청을 보내기 전, OPTIONS 메서드로 사전 요청을 보내 해당 출처 리소스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부터 확인하는 것을 프리플라이트 요청이라고 합니다.

위 이미지의 흐름과 같이, 브라우저는 서버에 실제 요청을 보내기 전에 프리플라이트 요청을 보내고, 응답 헤더의 Access-Control-Allow-Origin으로 요청을 보낸 출처가 돌아오면 실제 요청을 보내게 됩니다.

만약에 요청을 보낸 출처가 접근 권한이 없다면 브라우저에서 CORS 에러를 띄우게 되고, 실제 요청은 전달되지 않습니다.

프리플라이트 요청은 왜 필요한 걸까요?

  • 실제 요청을 보내기 전에 미리 권한 확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요청을 처음부터 통째로 보내는 것보다 리소스 측면에서 효율적입니다.

  • CORS에 대비가 되어있지 않은 서버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CORS 이전에 만들어진 서버들은 SOP 요청만 들어오는 상황을 고려하고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다른 출처에서 들어오는 요청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지 않았습니다.

이런 서버에 바로 요청을 보내면, 응답을 보내기 전에 우선 요청을 처리하게 됩니다. 브라우저는 응답을 받은 후에야 CORS 권한이 없다는 것을 인지하지만, 브라우저가 에러를 띄운 후에는 이미 요청이 수행된 상태가 됩니다. 만약에 들어온 요청이 DELETE 나 PUT처럼 서버의 정보를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요청이었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합니다.

하지만 CORS에 대비가 되어있지 않은 서버라도 프리플라이트 요청을 먼저 보내게 되면, 프리플라이트 요청에서 CORS 에러를 띄우게 됩니다. 예시와 같이 실행돼선 안 되는 Cross-Origin 요청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죠. 이런 이유로 프리플라이트 요청이 CORS의 기본 사양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2. 단순 요청

단순 요청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프리플라이트 요청을 생략하고 요청을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지만 이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기는 어려우므로, 일단은 참고만 해주세요.

  • GET, HEAD, POST 요청 중 하나여야 합니다.

  • 자동으로 설정되는 헤더 외에, Accept, Accept-Language, Content-Language, Content-Type 헤더의 값만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ntent-Type 헤더에는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multipart/form-data, text/plain 값만 허용됩니다.


3. 인증정보를 포함한 요청

요청 헤더에 인증 정보를 담아 보내는 요청입니다. 출처가 다를 경우에는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으면 쿠키를 보낼 수 없습니다.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서버 양측 모두 CORS 설정이 필요합니다.

  •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요청 헤더에 withCredentials : true를 넣어줘야 합니다.

  • 서버 측에서는 응답 헤더에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 true를 넣어줘야 합니다.

  • 서버 측에서 Access-Control-Allow-Origin을 설정할 때, 모든 출처를 허용한다는 뜻의 와일드카드(*)로 설정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인증 정보를 다루는 만큼 출처를 정확하게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CORS 설정 방법

이제 CORS 설정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Node.js 서버

Node.js로 간단한 HTTP 서버를 만들 경우, 다음과 같이 응답 헤더를 설정해 줄 수 있습니다.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uest, response) => {
// 모든 도메인
  response.setHeader("Access-Control-Allow-Origin", "*");

// 특정 도메인
  response.setHeader("Access-Control-Allow-Origin", "https://codestates.com");

// 인증 정보를 포함한 요청을 받을 경우
  response.setHeader("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true");
})

2. Express 서버

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서버를 만드는 경우에는, cors 미들웨어를 사용해서 더욱 간단하게 CORS 설정을 해줄 수 있습니다.

const cors = require("cors");
const app = express();

//모든 도메인
app.use(cors());

//특정 도메인
const options = {
  origin: "https://codestates.com", //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도메인
  credentials: true, // 응답 헤더에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추가
  optionsSuccessStatus: 200, // 응답 상태 200으로 설정
};

app.use(cors(options));

//특정 요청
app.get("/example/:id", cors(), function (req, res, next) {
  res.json({ msg: "example" });
});

이 외 다양한 개발 환경에서도, 헤더의 값을 설정하는 방법만 알면 CORS 설정을 해줄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