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base는 Google이 운영하는 BaaS(Backend as a Service)로
백엔드를 직접 개발하지 않고 서버를 빌려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로그인 인증을 하는 등의 서버 작업을 모두 직접 만들기에는 시간, 비용적으로 손해인 경우가 있겠죠?
벡엔드 작업을 Firebase를 통해 간단하게 처리함으로써 프론트엔드 개발에 더욱 집중할 수 있습니다.
웹 프로젝트에 Firebase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irebase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Google로 로그인하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시작하기
를 클릭해줍시다.
위와 같은 화면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만들기
를 클릭하여 진행해주세요. 아주 간단하게 생성이 가능합니다.
메인 화면에서 프로젝트 설정
으로 진입한 뒤 아래로 스크롤하면 ios+
, android
, </>
선택 버튼이 있습니다.
웹 프로젝트를 뜻하는 </>
를 선택해주세요.
웹 프로젝트로 설정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npm
또는 cdn
을 이용해 사용할 수 있도록 코드가 제공됩니다.
언제든 프로젝트 설정
메뉴에 들어가서 해당 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니 프로젝트에 적용할 때 복사하여 사용해주세요.
화면 좌측의 빌드
메뉴를 선택하면 여러 기능들이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사용하려면 Firestore Database
를
사진 업로드 기능을 사용하려면 Storage
를 클릭하여 설정해줍니다.
위의 빌드
메뉴에서 Firestore Database
를 선택하여 간단한 설정을 완료하면 위와 같이 Firestore가 생성됩니다. (지역은 서울로)
Firestore는 collection에 여러 개의 document를 추가할 수 있고 각 document에는 key-value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쉽게 말해 폴더(collection)에 형식(key-value형태)에 맞는 여러 개의 데이터(document)를 저장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같은 collection 내에서도 각 document안에 담긴 key-value의 종류는 달라도 상관없습니다.
Storage 역시 간단하게 생성이 가능하며 폴더 형태로 파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상단의 규칙
메뉴에 보면 read, write가 if flase
로 기본 설정 되어있습니다.
데이터를 읽고 가져오는 권한이 설정된 것으로 if true
로 변경하면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Firebase를 사용하기 위한 초기 설정을 해보았습니다.
위와 같이 사이트 설정을 마치면 프로젝트 내에서 코딩만 잘 해주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React 프로젝트에서 Firebase를 적용하는 예시를 확인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