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ular 에러 발생 이벤트를 모두 캐치하는 클래스를 만들어 봅시다. 내장 함수인 ErrorHandler를 활용하며, 최상위 모둘에 적용합니다.에러를 처리하는 handleError 함수를 사용하여 에러 처리를 한 곳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Module 또는 Component 단위로 Lazy Loading 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SPA의 특성상 모든 파일이 로드 되어야 서버의 호출 없이 다음 페이지로의 전환이 이루어 지는데이를 Lazy Loading으로 처리하여 초기 로딩을 분산하는 방법입니다.기존 로딩
이 가이드에서는 Angular 애플리케이션에서 ngx-translate를 사용하여 다국어 처리를 구현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NgModule 방식과 Standalone 방식을 모두 지원하며, 엔터프라이즈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급 설정 옵션과 모범 사례를 설명합니다.필요
요청 처리 방식: 모든 라우팅 요청이 서버에서 직접 처리됨상태 관리: 각 요청이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서버 세션을 통해 상태 관리렌더링 프로세스: 서버에서 완전한 HTML을 생성하여 전송초기 로딩: 각 라우트 변경 시 전체 페이지 리로드 필요요청 처리 방식: Histo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구성하는 라우팅의 비교 입니다.Server-side (서버 측): 서버에서 라우팅을 처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에 직접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즉, 웹 페이지 요청이 서버에 도달하면 서버에서 해당 페이지를 렌더링하고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
컴포넌트 없이 라우팅을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Routing을 설정하면 Component를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이 때 "/" 나 "/main"을 입력하여 MainComponent에 접근하려면 반드시 AppComponent를 거친 후 redirectTo에 의
기본적으로 적용된 모든 애니메이션 또는 특정 Material 요소의 애니메이션을 중지하고자 할 때, 몇 가지 간단한 제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원하는 애니메이션을 중지하려는 대상 요소를 식별합니다.해당 요소에 애니메이션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disabled="t
Angular의 @Input 데이터 전달 문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Input은 Angular에서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데코레이터입니다. React의 props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페이지 새로고침이
중복 사용되는 모듈을 Shared Module로 공유하는 방법 입니다.다른 module에서 선언한 component를 또 다른 module에서 중복 선언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에러를 분석해보면 이러한 경우 상위 또는 다른 module에 선언하고 그 module을 참조하
ng test와 ng e2e 적용 방법과 차이점을 알아봅시다.목적: 개별 컴포넌트, 서비스, 파이프 등 내부 로직과 의존성 주입(DI)을 검증합니다.jasmine, karmabrowser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결과까지 포함합니다.component와 service를 모두
route에서 canActivate와 canDeactivate, canActivateChild, canLoad 옵션처리 방식을 알아보고, 함께 Guard 사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anLoad: 모듈 사용을 방지. LazyLoad 된 모듈에서만 사용한다. ca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