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둥냥둥냥둥·2023년 12월 4일
0
post-thumbnail

01. 내가 생각한 인프라 엔지니어

처음 인프라 엔지니어를 생각했을 때는 병원에서 했던 전산관리 및 랜선 작업을 생각했다. 하지만, 나의 생각과는 다른 직무였다. [ 클라우드 엔지니어 ] 업무는 크게 인프라 설계, 인프라 구축, 인프라 운영 세 단계의 업무를 한다.

이제 클라우드 엔지니어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자...



02. 업무 세 단계

인프라 설계

인프라를 만들 때는 반드시 인프라를 만든 목적이 있으므로 우선, 그 목적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 등을 조건을 기준으로 정리한다.

조건이 정리되면 그 조건에 맞는 적절한 기획서와 설계서를 작성해야 한다. 어떤 인프라를 어느 정도의 비용으로, 어느 정도의 기간 내에 만들 수 있는지 예상하는 작업이다. 기획서와 설계서가 완성되면 합당한 책임자에게 결재를 올린다.

인프라 구축

필요한 기능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발주해서 납품을 받으면 인프라 구축을 시작한 다. 인프라 구축 작업은 인프라 엔지니어가 직접하는 경우도 있고 오퍼레이터나 외 부 업체에 맡길 때도 있다. 인프라 구축 작업은 기기의 운반과 조립, 장착, 설치, 설 정, 동작 테스트, 부하 테스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SI(시스템 인터그레이션) 대기업을 고객으로 둔 업계에서는 기기를 들여오고
  • CE(커스터머 엔지니어) 하드웨어 관련 작업 설치
  • SE(시스템 엔지니어) 서버나 스토리지 설정
  • NE(네트워크 엔지니어) 네트워크 장비 설정

인프라 운영

구축한 IT 인프라는 가동 후에도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운영해야만 한다.

인프라는 24시간, 365일 내내 가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직접 인프라를 운영하는 회사는 몇 개의 팀을 만들어 24시간, 365일 교대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이런 운영 조직을 만들 수 없을 때는 MSP 라고 불리는 IT 인프라 운영 관리 업자에게 일련의 업무를 위탁할 수도 있다. 인프라 운영은 다음처럼 주로 장애 대응과, 수용량 관리,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 제의 파악으로 나눌 수 있다.

장애 대응

장애 대응에는 하드웨어 고장이나 급격한 액세스 증가에 대한 대책부터 부적절한 권한 설정에 의해 액세스가 불가능한 상황의 해소 등이 있다.

수용량 관리

일단 구축한 인프라는 시간이 지나면서 액세스 수나 데이터 양 등이 늘기도 하고 줄 기도 한다. 적당한 시기에 인프라의 수용력을 재검토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프 라 전체의 수용량이 부족하면 인프라를 늘려야 하고, 반대로 너무 여유롭다면 인프 라를 축소해서 규모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면 콜센터나 다른 부서에서 인프라 엔지니어에게 장애 원인 에 관한 문의가 들어온다. 그런 경우, 인프라가 원인일 때도 있지만 프로그램의 버 그나 애플리케이션 설정 실수 등 인프라가 원인이 아닐 때도 있다. 장애 원인이 인 프라인지 아닌지를 파악한 뒤 인프라가 원인이면 직접 대응하고, 인프라가 원인이 아니면 대응 가능한 부서에 대응 요청을 한다.



그렇다면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는 어떤 것이 있을지 궁금해진다.

03.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

퍼실리티

퍼실리티란? 건물, 시설, 설비 등을 의미한다. 퍼실리티에는 데이터 센터와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랙, 에어컨, 발전기, 변압기, 소화 설비 등이 포함 한다.

서버, 스토리지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르르 가리킨다.

네트워크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가리킨다.

스토리지(Storage)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며, 스토리지를 직접 서버에 연결 할 수 있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음.


04. 기술자 관점의 인프라 엔지니어

서버 하드웨어

서버 하드웨어는 주로 IA 서버와 엔터프라이즈 서버 두 가지가 있다.

  • 양 쪽 서버 모두 메인보드
  • CPU(중앙 연산 유닛)
  • 메모리
  • 디스크
  •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 PSU(파워 서플라이 유닛)

위와 같은 주요 부속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서버에서 이용되는 주요 부품은 해마다 다양화되어, 각 차이와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기란 어렵다.

서버 운영체제

서버 운영체제 OS는 거의 [ 리눅스, 윈도, 유닉스 ] 세 가지로 집약된다.
시간을 들여 공부하면 각 운영체제의 개념이나 기능에 정통하는 것이 어려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이론과 실전은 다르다. 직장 환경에서 사용할 기회가 없는 운영체제 는 경험을 쌓는다는 의미에서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인 조작은 이론으로도 통달할 수 있지만 장애 대응은 경험을 무시할 수 없다. 실전 경험이 없는 기술자가 장애에 대응한다는 것은 말하자면, 경험이 없는 전공의가 갑자기 수술하게 되는 상황과 같다.

스토리지

디스크의 대용량화, 플래시 디스크의 등장에 따른 고속화.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 등을 배경으로 스토리지 가상화. 씬 프로비저닝. 중복 제거, 스냅샷 등 신기술이 속속 풍장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의 장단점을 신중하게 파악하고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적절한 스토리지를 선정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설계와 구축

오늘날에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당신 프로토콜이 TOP/IP로 거의 집약되므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던 예전과 비교하면 일상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지 식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졌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흐름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므로, 실제로 네트워크를 구축 하고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을 때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원인을 찾아내긴 어렵다.때 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는 설계 단계부터 모든 각도에서 검토해 문제점을 해결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터넷에서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야 비로소 성립한다.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했을 때 통신이 잘 되지 않으면 자신들의 문제인지 아니면 상대방 의 문제인지 파악해야 한다. 하지만, 프로젝트에 관한 정확한 이해, 자신들의 설계 와 설정은 아무 문제가 없다는 확신, 그리고 상대방의 설계나 설정이 아마도 틀렸을 거라는 근거가 없다면 상대방에게 자신 있게 지적할 수 없을 것이다.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장비의 주된 역할은 통신의 교환이다.
네트워크 장비 카탈로그를 보면 다양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어 어렵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연결 하는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의 수와 커넥터의 차이, 어느 정도의 통신량을 얼마나 빠르게 교환하고 싶은지. 그리고 라우터, L2 스위치, L3 스위치, L4 스위치, L7 스위치의 차이를 파악해 두면 네트워크 장비 선정에서 크게 실수할 일은 없다.



05. 선정자로서 인프라 엔지니어

시스템 구성

프로젝트에 대해서 어떤 시스템을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검토한다.

서버 사양 전성

인프라 엔지니어는 구매하려고 하는 서버의 사양을 선정한다. 서버에는 선정해야 할 사항이 많다.

  • CPU
  • 메모디
  • 디스크
  • RALD
  • NIC
  • PSU의 이중화 필요성
  • 보수 연수
  • 보수 레벨
  • 확장성
  • 물리적 크기 및 중량

이러한 사항들을 하나씩 사양을 결정하는 것도 인프라 엔지니어의 중요한 역할이다.

DB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와 요건을 검토한다.

  • RDBMS
    • 오라클
    • SQL 서버
    • MySQL
    • PostgreSQL
  • 필요 용량 계산
  • DB 스키마와 물리적인 데이터 배치 결정

운영 시스템

시스템을 어떻게 감시하고 운영할 것인지 검토한다.

  • 장애의 발생을 시스템 감시 도구로 감지하고, 장애 발생을 감지했을 때만 사원이 대응한다.
  • 1차 대응은 MSP 언체에 위임한다. 드래도 해결되지 않을 때만 전화 등으로 사원에게 문제를 전달해서 단계적으로 대응
  • 별도의 조직을 만들어 24시간, 365일 감시 시스템을 구축한다.
profile
Java 먹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