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말해 제어의 역전,스프링이 heap영역을 제어함 그래서 내가 스택안의 지역변수들을 매번 만들 필요없이 어노테이션을 붙여서 스프링컨테이너에 인식을 시키면 알아서 스프링이 만들어준다.IOC를 따르기 위해서패키지 파일을 ioc 규칙에 맞게 설계해야함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걸고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 될 자료를 넣어두면.save 를 하지 않아도 트랜잭션이 종료 되기 직전 영속성 컨텍스트와 실제 DB의 차이를 스프링에서 인식하고 업데이트가 된다이걸 더티체킹이라고 함
http 통신 은 약속(프로토콜)이다클라이언트 = 배고픈 사람 = 요청하는 사람통신방법 (요청,request) 4가지get = 데이터를 줘! (Select)get 방식으로만 인터넷 브라우저를 불러올수 있고어떤 데이터를 요청할 건지 요청하는 방법은 쿼리스트링 밖에없다특징
Stateless 요청시 마다 스트림을 연결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http 가 이 방식을 씀Statefull 연결이 지속되있는 방식 (채팅같이 데이터 실시간 연결)세션을 만들다 = 데이터를 응답해줄 준비가됨 (인증이 됨)http는 stateless라서 연결이 끊기면
MIME(마임) 타입패킷으로 데이터를 보낼때 바디에 들어갈 데이터의 타입 형식이란 뜻POST요청은 여기에 대한 \~~ 데이터를 추가! 해줘 라는 뜻인데이걸 어디에 담냐면 요청시에 헤더와 바디 라는 걸 달고 요청을 감내 사진이 MY.JPEG 라고 치면헤더에 : IMAGE
HTTP 통신을 쓸대 우리가 쓰느 ㄴ방식은패킷 스위칭 데이터를 하나하나 쪼개고 그것을 패킷이라고 함그걸 한개씩 전송함패킷스위칭 을쓰면 C라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보내도 같은 선을 이용함 받는 서버 쪽에서 각각 사용자의 데이터를 조립함 데이터는 전선을 이용해 들
직접 변수를 변경하는걸 막기위해서. 변수를 "메서드에 의해 변경이 되도록 만들어야 객체지향임"
NoArgsConstructor 빈 생성자 만드는 어노테이션AllArgsConstructor 필드값 다 가진 생성자 만드는 어노테이션Builder 필요한 필드 값만 따로 가져올수 있게 만드는 어노테이션 순서 안지켜도 됨 직접 만들면 생성자 만든 순서 대로 해야됨 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