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03
function solution(s) {
var answer = '';
if(s.length % 2 === 1) { // 문자열의 개수가 홀수일 때
answer += s[Math.floor(s.length / 2)];
} else { // 문자열의 개수가 짝수일 때
answer += s[s.length / 2 - 1] + s[s.length / 2];
}
return answer;
}
문자열의 길이가 홀수일 때와 짝수일 때를 if 문을 통해 나눠서 가운데 문자열을 정답에 추가했다.
function solution(s) {
const mid = Math.floor(s.length/2);
return s.length %2 === 1 ? s[mid] : s[mid-1]+s[mid];
}
자주 쓰이는 부분을 상수 mid로 선언해서 코드의 가독성이 내가 만든 코드보다 더 좋다고 느꼈다. 그리고 조건부 삼항 연산자를 사용해서 한 줄의 간단한 코드로 표현한 부분도 배울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