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입력된 자료를 토대로 원하는 출력을 유도하여 내는 규칙의 집합여러 단계 유한 집합으로 구성되는데, 각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산을 필요로 한다알고리즘(영어: algorithm), 셈법은 수학과 컴퓨터과학, 언어학 또는 엮인 분야에서
시간 복잡도란?입력값과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과의 상관관계시간 복잡도 계산하기 (최대값 찾기 예시)각 줄이 실행되는 걸 1번의 연산이 된다고 생각하면 됨array(입력값)의 길이는 N이라고 표현즉 위에 연산된것을 더해보면 N \* N + 1N²만큼의 시간이 걸렸
Q. 다음과 같이 0 혹은 양의 정수로만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하나씩 모든 숫자를 확인하며 숫자 사이에 '✕' 혹은 '+' 연산자를 넣어 결과적으로 가장 큰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 보다 '✕' 를 먼저 계산하는 일반적인
알고리즘의 스피드는 "빠르다", "느리다" 등으로 표현하지 않는다.컴퓨터라는 하드웨어가 속도를 결정하기때문에 이러한 표현보단 5스텝, 10스텝 등의 "완료까지 걸리는 절차의 수"로 속도를 표현한다시간복잡도를 빠르게 설명할 수 있음읽기 쉽고, 바로 설명이 가능함알고리즘
'팰린드롬'이란?앞뒤가 똑같은 단어나 문장뒤집어도 같은 말이 되는 단어 또는 문장을 팰린드롬(Palindrome)dlfkrh gksek우리말로는 '화문'이라고 부름'소주 만 병만 주소' 같은 문장이 이에 해당리스트로 변환 풀이데크 자료형을 이용한 최적화슬라이싱 사용
스택과 큐는 일종의 규칙이다 (자료구조가 큐 혹은 스택으로 구분되기 위한 것)이러한 것들을 추상적 자료구조(ADT)라고 한다 (Abstract Data Type)자료구조의 한 형태자료구조의 방법이 코드로 정의된 것이 아닌 구조의 행동양식만 정의된 것을 뜻함스택과 큐는
큐(queue)는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작동그에 반면 양방향 큐가 있는데 바로 Deque앞, 뒤 양쪽 방향에서 엘리먼트를 추가 혹은 삭제할 수 있음데크는 양 끝 엘리먼트의 append 와 pop이 빠른 장점이 있다컨테이너의 양 끝 엘리먼트에 접근하여 삽입 또는
sum()으로 2차원 리스트를 1차원으로 변환sum(iterable, start)은 start에 iterable의 모든 데이터를 더하는 함수다sum(num_list1, \[]) = \[] + 1, 11 + 2, 22 + 3, 33Output:itertools로 2차원
이진 탐색은 정렬이 되어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다이진 탐색의 시간복잡도는 log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