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니 프로젝트를 마치며?

S S·2023년 6월 8일
0
post-thumbnail

프롤로그

  • 이번글에는 페어와의 프로젝트가 아닌 6주이상 연계해온 조각프로젝트들을
    포기하면 추후 결과물을 만들때 본인에게 돌아오는 괴로움이 배가 되는결실
    이라는 이번 개인시간전에서 너무나 눈과머리가 뼈아프게 와닿는 시간이 되었다. 앞으로는 절대로 그때그때 해결하고 넘어가자는 절대습관을 기르자라는 혼자만의 자아성찰의 시간이었다.

목차
1.agora-states-node-sever

1. agora-states-node-sever

  • 클라이언트 서버 (Client_server) -
    : 브라우저에는 서버에 요청보내기위해서 fetch 같은 HTTP요청을 보내는 도구가 기본적으로 내장되어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HTTP요청에 맞게 응답을 보낼수있도록 코드를 작성해야한다.
    °Node.js의 http모듈을 이용해 웹서버를 만들수있다.
    °Node.js에서 파일을 읽고쓰기위해 fs모듈을 사용한다
    nodejs 참고

    °HTTP요청과 응답을 다루기위해서는 HTTP모듈을 사용한다
    HTTP트랜잭션 해부
    → 위 참고 공식문서에 들어가면 방대한양의 한번 우울하고 무슨말인지 이해가안되서 좌절감에 두번 우울함에 어디서부터 접근해야할지 막막함에 멍때리기에 갈팡질팡만 하다 땅꿀파기만 실력만 늘어갔음이다.

  • 구현해보기



Endpoint는 무엇이고 Method에 따라 메세지가 달라지니 새로운세계

-Endpoint란 서버가 요청을 수락하는 시작점을 뜻한다.
우선 하나의 예시를 들자면 Github API 의 root-endpoint는 https://api.github.com 이고, 트위터 API 는 https://api.twitter.com

-HTTP Method GET : 주로 데이터를 읽거나조회할때 사용되는 메소드이다.만약에 GET요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면 XML나 JSON과함께 Status(200)HTTP응당코드가 리턴한다 에러가 발생하면 주로 404(Not found),400(bad request)에러가 발생한다.
POST :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할때 사용된다 직관적으로 말하자면 부모리소스의 하위리소스를 생성하고자할때 사용된다. 이또한 성공되었을때는 Status(201)HTTP응답코드가 반환한다.

PUT: 데이터를 업데이트를 하고자할때 사용된다 여기서 뽀인트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URI에 payload에 있는 자원으로 변경업데이트하는 메서이드다 멱등성을지킨다
예시) type(좋아요/싫어요) 기능구현할때 클라이언트에서 액션을 받을때 유저가 식벽가능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후 있으면 body에 type들이 변화가 업데이트 될것이다
PATCH:부분적으로 수정하고 할때 쓰인다 . 멱등성을지키지 못한다 ...

DELETE:특정 리소스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정경로의 리소스를 제거하기위해 사용되므로, 데어터를 담는 바디가 있을필요가 없다.. 따라서 DELETE메서는 시작라인과 헤더로만 구성된다.

URL과 URI 차이는 무엇이며 정말 서버를 배우면서 새로운 세계를 영접하게됨을 또한번 깨닫고 좌절하고 멍때리고 쫄깃함을 맛보고 있는중이다!!! 남과 비교하자면
밑도끝도 없기에 어제의 나와 비교하고자한다 나란사람은 IT쪽으로는 일자무식인 사람이었음을...훗....

→ 우리에겐 얼굴도 본적없는 선배님들이 계신다는걸 잊지마시라.. 검색도 실력이라고 배웠다..모르면 무조건 찾으십시오!!!전 찾아도 당장에는 이해가 안되는 구문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나중에라도 이해가 되는경우가 있었습니다 저같은 느림보도 가능하다는걸...파트II 마무리하며..초초미니프로젝트에 대한 회고로 마무리를 지을까했지만 그러자니 개인일기형식밖에 안될듯하여 클라이언트서버에 대한 구현성공 과 다음 리뷰에는 express 성공했지만 DOM과의 연결실패 이유에 대해 회고할까한다.

profile
더불어 함께하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