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 x=1;
var y=1;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 선언을 허용한다.
//초기화문이 있는 변수 선언문은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var키워드가 없는 것처럼 동작한다.
var x=100;
//초기화문이 없는 변수 선언문을 무시됀다.
var y;
console.log(x); //100
console.log(y); //1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따라서 함수 외부에서 var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해도 모두 전역 변수가 된다.
var x=1;
if(1){
//x는 전역 변수다. 이미 선언된 전역 변수 x가 있으므로 x변수는 중복 선언된다.
//이는 의도치 않게 변수값이 변경되는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var x=10;
}
console.log(x); //10
for문은 변수 선언문에서 var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도 전역 변수가 된다.
var i=3;
//for문에서 선언한 i는 전역 변수다. 이미 선언된 전역 변수 i가 있으므로 중복 선언된다.
for(var i=0; i<5; i++){
console.log(i); //0,1,2,3,4
};
//의도치 않게 i 변수의 값이 변경되었다.
console.log(i); //5
var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 선언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 즉,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var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할 수 있다. 단 할당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면 언제나 undefined를 반환한다.
//이 시점에서는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이미 foo변수가 선언되었다.(1. 선언단계)
// 변수 foo는 undefined로 초기화 된다.(2. 초기화 단계)
console.log(foo);//undefined
//변수에 값을 할다(3. 할당 단계)
foo=123;
console.log(foo); //123
var foo;
var키워드로 이름이 동일한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 아무런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서 값까지 할당했다면 의도치 않게 먼저 선언된 변수 값이 재할당 되어 변경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하지만 let키워드로 이름이 같은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 문법 에러 가 발생한다.
var foo=123;
//var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 선언을 허용한다.
//아래 변수 선언문은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var키워드가 없는 것처럼 동작한다.
var foo=565;
let fo=12;
//let이나 cons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 선언을 허용하지 않는다.
let fo=45;
var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함수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하지만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모든 코드 블록(함수, if문, for문, while문, try/catch 문 등)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let foo=10;
{
let foo=45; //지역 변수
let bar=4;
console.log(foo); //45출력
}
console.log(foo); //10 출력
console.log(bar);//error
let i=10; //전역 스코프
function foo(){ //함수 레벨 스코프
let i=100;
for(let i=1; i<3; i++){ //블록 레벨 스코프
console.log(i); //1,2 출력
}
console.log(i); //100출력
}
foo();
console.log(i); //10출력
❗️함수도 코드 블록이므로 스코프를 만든다. 이때 함수 내의 코드 블록은 함수 레벨 스코프에 중첩된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달리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console.log(andy); //error
let andy='andy';
❗️변수선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var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런타임 이전에 자바스크립트 엔지에 의해 암묵적으로 선언단계 와 초기화 단계가 한번에 진행된다. 즉 선언단계에서 스코프(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에 변수 식별자를 등록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변수의 존재를 알린다. 그리고 즉시 초기화 단계에서 undefined로 변수를 초기화한다.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단계" 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즉, 런타임 이전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선언 단계가 먼저 실행되지만 초기화 단계는 변수 선언문에 도달했을 때 실행 된다.
❗️❗️스코프의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단계 시작 지점(변수 선언문)까지 변수를 참조할수 없다. 스코프의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시작 지점까지 변수를 참조할 수 없는 구간을 일시적 사각지대(TemporalDeadZone)라고 부른다.
//런타임 이전에 선언 단계가 실행된다. 아직 변수가 초기화되지 않았다.
//초기화 이전의 일시적 사각지대에서는 변수를 참조할 수 없다.
console.log(foo); //error
let foo; //변수 선언문에서 초기화 단계가 실행된다.
console.log(foo); //undefined;
foo=1; //할당문에서 할당 단계가 실행된다.
console.log(foo); //1
❗️결국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let foo=1; //전역 변수
{
console.log(foo); //error
let foo=3; //지역 변수
}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경우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위 예제는 전역변수 foo의 값을 출력해야 한다. 하지만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도 여전히 호이스팅이 발생하기 때문에 참조 에러가 발생한다.
❗️자바스크립트는 es6에서 도입된 let, const를 포함해서 모든 선언(var, let, const, function, function*, class등)을 호이스팅한다. 단 es6에서 도입된 let, const, class를 사용한 선언문은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var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전역 함수, 그리고 서언하지 않은 변수에 값을 할당한 암묵적 전역은 전역 개체 window의 프로퍼티가 된다.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할 때 window를 생략할 수 있다.
//브라우저 환경에서 실행
//전역 변수
var x =1;
//암묵적 전역
y=2;
//전역 함수
function foo(){}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다.
console.log(window.x); //1
//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는 전역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
console.log(x); //1;
//암묵적 전역은 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다.
console.log(window.y); //2
console.log(y); //2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전역 함수는 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다.
console.log(window.foo) // f foo(){}
//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는 전역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
console.log(foo); // f foo(){}
let x=1;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 window의 프로퍼티가 아니다.
console.log(window.x); //undefined
console.log(x); //1
const키워드는 상수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반드시 상수만을 위해 사용하지는 않는다.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한다.
const foo=1;
const foo;//error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마찬가지로 블록 레벨 스코프를 가지며,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console.log(andy); //error
const andy='andy';
console.log(andy); //andy
}
//블록 레벨 스코프를 갖는다.
console.log(andy); //error
var또는 le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자유로우나 const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된다.
const a=1;
a=4
console.log(a); //error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에 원시 값을 할당한 경우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재할당 없이 값을 변경할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변수의 상대 개념인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를 말한다. 상수도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므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단, 변수는 언제든지 재할당을 통해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지만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다.
🤔상수는 상태 유지와 가독성,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세전 가격
let preTaxPrice=100;
//세후 가격
//0.1의 의미를 명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가독성이 좋지 않다.
let afterTaxPrice= preTaxPrice+(preTaxPrice*0.1);
//세율을 의미하는 0.1은 변경할 수 없는 상수로서 사용될 값이다.
//변수 이름은 대문자로 선언해 상수임을 명확히 나타낸다.
const TAX_RATE=0.1;
//세전 가격
let preTaxPrice=100;
//세후 가격
let afterTaxPrice =preTaxPrice+(preTaxPrice*TAX_RATE);
❗️일반적으로 상수의 이름은 대문자로 선언해 상수임을 명확히 나타낸다. 여러 단어로 이뤄진 경우에는 언더스코어(_)로 구분해서 스테이크 케이스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const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원시 값을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없다. 하지만 ❗️const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변경 불가능한 값인 원시 값은 재할당 없이 변경 할수 있는 방법이 없지만 변경 가능한 값인 객체는 재할당 없이도 직접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const person ={
name: 'andy'
}
person.name='han';
person.age=25;
console.log(person); //{name: 'han', age: 25};
❗️const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새로운 값을 재할당 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프로퍼티 동적 생성, 삭제, 프로퍼티 값의 변경을 통해 객체를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때 객체가 변경되더라도 변수에 할당된 참조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변수 선언에는 기본적으로 const를 사용하고 let은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const키워드를 사용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을 방지하기 때문에 좀 더 안전하다.
1.) es6을 사용한다면 var키워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2.)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let키워드를 사용한다. 이때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든다.
3.) 변경이 발생하지 않고 읽기 전용으로 사용하는(재할당이 필요없는 상수)원시 값과 객체에는 const키워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