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BS

꾸꾸·2022년 9월 27일
1
post-thumbnail

1. 재무보고서

아무리 회계를 모르는 사람도 아래와 같은 기사 제목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SK하이닉스,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연합뉴스의 2022-04-07 기사를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이 매출과 영업이익의 수치가 나타나있다. 이런 수치들은 모두 기업들의 재무보고서를 기반으로 한다.

그림1: 연합뉴스 "삼성전자,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매출 77조원 '역대 최대'(2022-04-07)"

기업에 제대로 투자하려면 기업을 잘 알아야한다. 기업을 잘 알아보려면, 비단 기사 하나를 읽고 이 내용이 사실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공시하는 재무보고서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의 재무보고서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Balance Sheet(대차대조표)이다. 이는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재무상태표)라고도 불리우며,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두번째는 Income Statement(손익계산서)이다. 이는 Profit and Loss Statement, 직역 그대로 기업의 수익과 손실, 즉 경영성과를 보여준다.
세번째는 Cash Flow Statement(현금흐름표)로 기업의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현금흐름을 보여준다.
네번째는 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자본변동표)로 기업의 자본증감을 보여준다.

이 네 가지를 읽고 기업이 얼마를 빌려서, 얼마를 벌고, 얼마를 투자하는지를 알아야 내가 투자한 기업의 주식의 가격이 공시자료 발표 후 왜 떨어졌는지 명확히 알 수 있다. 물론 주식투자 방법에는 가치투자(기업의 가치에 기반한 주식 투자 전략)만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재무보고서 읽는 방법을 모른 채 주식투자를 하는 것은 전략을 세우기에 좋지 않은 방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보고서 중 Balance Sheet(대차대조표)를 읽는 방법을 소개하고, DART OPEN API를 사용하여 해당 재무보고서를 불러와서 내가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보려고 한다.

2. 재무보고서를 확인하는 방법? DART

해당 재무보고서를 확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전자공시시스템 DART에 들어가서 확인하는 방법이다. 아래 내용을 따라해보자.

1) DART 홈페이지에 접속해서(https://dart.fss.or.kr/main.do) 회사명에 '삼성전자'를 입력하고 그 아래 분류 중 '정기공시'를 체크한다. 그러면 활성화되는 아래 항목들 중 '사업보고서', '반기보고서', '분기보고서'를 체크한다. 그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한다.

그림2: DART 전자공시시스템

2) 그러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설정된 1년이라는 기간동안의 '삼성전자'의 사업, 반기, 분기보고서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최신인 '2022.6 반기보고서'를 클릭한다.

그림3: 삼성전자 2021.9 ~ 2022.9 사업보고서

3) 그림 4는 반기 보고서의 좌측 목차에서 Ⅲ. 재무에 관한 사항 > 4. 재무제표를 클릭한 결과이다. 화면에서 스크롤을 내리면,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를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특정 기업의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가장 확실하고 쉬운 방법이다.

그림4: 삼성전자 2022.6 반기보고서

3. BS의 정의와 구조

재무보고서의 가장 상단에 있는 재무상태표(Financial Positions)는 대차대조표(Balance Sheet)라고도 불리운다. 각각 줄여서 FS, BS라고 지칭하겠다.

BS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그림5: BS 구조

왼쪽에 자산을, 오른쪽에 부채와 자본을 계상한다. 부채와 자본의 합은 자산과 같아야하며, 이에 따라 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자본이 되어야 한다.

(총)자산 = 부채 + (자기)자본
(자기)자본 = (총)자산 - 부채

기업이 가진 총자산은 빌린돈(부채)과 자기돈(자기자본)의 합계라고 이해하면 쉽다.

(추가해야 할 내용)
(총자산의 개념과 종류)
(부채와 자기자본의 개념과 종류)

4. BS를 알아야 하는 이유, 한계

(추가해야 할 내용)
(BS를 알아야 하는 이유)

하지만 BS의 수치들을 덥썩 믿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번째는 가치 측정의 이슈이다. 예를 들어, 자산별 역사적원가, 상각원가, 공정가치 등 반영기준이 달라도 한번에 분석되므로 정확한 가치 측정이 어렵다.
두번째는 완전성 이슈이다. 회사의 인적자산이나 회사평판 등은 재무상태표에는 계상될 수 없다. 해당 사항들은 분명히 가치가 있는 것들이기에 재무상태표가 해당 기업의 자산을 정확하게 측정하였다고 볼 수 없다.

profile
안녕하세요. 꾸꾸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