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ApplicationContext)

Hyeonjun·2022년 8월 21일
0
post-thumbnail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다.
  •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getBean()을 제공한다.
  •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했던 대부분의 기능은 BeanFactory가 제공하는 기능이다.

ApplicationContext

  •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한다.
  • 빈을 관리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BeanFactory가 제공해주는데,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빈은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수 많은 부가 기능이 필요하다.

ApplicationContext가 제공하는 부가기능

  • 메시지 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 예를 들어서 한국에 들어오면 한국어로, 영어권에서 들어오면 영어로 출력
  • 환경변수
    • 로컬, 개발, 운영등을 구분해서 처리
  •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 이벤트를 발생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게 지원
  • 편리한 리소스 조회
    • 파일, 클래스 패스, 외부 등에서 리소스를 편리하게 조회

정리

  •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기능을 상속받는다.
  • ApplicationContext는 빈 관리기능 + 편리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 BeanFactory를 직접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 부가기능이 포함된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 BeanFactory나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다양한 설정 형식 지원 - 자바코드, XML

  • 스프링 컨테이너는 다양한 형식의 설정 정보를 받아드릴 수 있게 유연하게 설계되어 있다.
    • 자바 코드, XML, Groovy 등

  • 각각의 구현체를 통해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 이전에 사용했던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도 그런 구현체 중 하나.

어노테이션 기반 자바 코드 설정 사용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클래스를 사용하면서 자바 코드로 된 설정 정보를 넘기면 된다.

XML 설정 사용

  •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를 많이 사용하면서 XML기반의 설정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아직 많은 레거시 프로젝트들이 XML로 되어 있고, 또 XML을 사용하면 컴파일 없이 빈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도 있으므로 한 번 배워두는 것도 괜찮다.
  • GenericXml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하면서 xml설정 파일을 넘기면 된다.

XmlAppContextTest

public class XmlAppContextTest {

    @Test
    void xmlAppContext() {
        ApplicationContext ac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appConfig.xm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class);
    }
}

appConfig.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bean id="memberService" class="hello.core.member.service.MemberServiceImpl" >
        <constructor-arg name="memberRepository" ref="memberRepository"/>
    </bean>

    <bean id="memberRepository" class="hello.core.member.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bean id="orderService" class="hello.core.order.service.OrderServiceImpl" >
        <constructor-arg name="memberRepository" ref="memberRepository"/>
        <constructor-arg name="discountPolicy" ref="discountPolicy"/>
    </bean>

    <bean id="discountPolicy" class="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
</beans>

스프링이 이렇게나 유연합니다.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 BeanDefinition

  • 스프링은 어떻게 이런 다양한 설정 형식을 지원하는 것일까?
    • 그 중심에는 BeanDefinition이라는 추상화가 있다.
  • 쉽게 이야기해서 역할과 구현을 개념적으로 나눈 것이다.
    • XML을 읽어서 BeanDefinition을 만들면 된다.
    • 자바 코드를 읽어서 BeanDefinition을 만들면 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 코드인지, XML인지 몰라도 된다.
      • 오직 BeanDefinition만 알면 된다.
  • BeanDefinition을 빈 설정 메타정보라 한다.
    • @Bean, <bean> 강 각각 하나씩 메타 정보가 생성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스프링 빈을 생성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BeanDefinition만을 의존한다.

코드레벨로 조금 더 깊이있게 들어가보자.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nnotationBeanDefinitionReader를 사용해서 AppConfig.class를 읽고 BeanDefinition을 생성한다.
  • GenericXmlApplicationContextXmlBeanDefinitionReader를 사용해서 appConfig.xml 설정 정보를 읽고 BeanDefinition을 생성한다.
  • 새로운 형식의 설정 정보가 추가되면, XxxBeanDefinitionReader를 만들어서 BeanDefinition을 생성하면 된다.

정리

  • BeanDefinition을 직접 생성해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할 수 있다.
    • 하지만 실무에서 BeanDefinition을 직접 정의하거나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
  • BeanDefinition에 대해서는 너무 깊이있게 이해하기 보다는, 스프링이 다양한 형태의 설정 정보를 BeanDefinition으로 추상화해서 사용하는 것 정도만 이해하면 된다.
  • 가끔 스프링 코드나 스프링 관련 오픈소스의 코드를 볼 때, BeanDefinition이라는 것이 보일 때가 있다.
    • 그 때 이러한 매커니즘을 떠올리면 된다.
profile
더 나은 성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