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63

김민성·2023년 10월 10일
0

Baekjoon

목록 보기
35/37

색종이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0인 정사각형 모양의 흰색 도화지가 있다. 이 도화지 위에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인 정사각형 모양의 검은색 색종이를 색종이의 변과 도화지의 변이 평행하도록 붙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종이를 한 장 또는 여러 장 붙인 후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흰색 도화지 위에 세 장의 검은색 색종이를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붙였다면 검은색 영역의 넓이는 260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과 도화지의 왼쪽 변 사이의 거리이고, 두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아래쪽 변과 도화지의 아래쪽 변 사이의 거리이다. 색종이의 수는 100 이하이며, 색종이가 도화지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3 7
15 7
5 2

예제 출력 1

260

정답

// 노드의 파일시스템 모듈을 이용하기 위해 fs를 가져옵니다.
const fs = require('fs');
// 입력을 받아옵니다. split('\n')을 통해 입력의 각 행을 배열 요소로 나눕니다.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 100x100 크기의 2차원 배열을 0으로 초기화합니다.
const paper = Array.from({ length: 100 }, () => Array(100).fill(0));

// 색종이의 수를 가져옵니다.
const n = parseInt(input[0]);

// 각 색종이에 대해서
for (let i = 1; i <= n; i++) {
    // 색종이의 왼쪽 아래 모서리 좌표를 구합니다.
    const [x, y] = input[i].split(' ').map(Number);

    // 해당 좌표를 기준으로 10x10 크기의 영역을 1로 설정합니다.
    for (let j = x; j < x + 10; j++) {
        for (let k = y; k < y + 10; k++) {
            paper[j][k] = 1;
        }
    }
}

// 2차원 배열에서 1의 값인 칸의 개수를 구합니다.
const result = paper.flat().filter(val => val === 1).length;

console.log(result);  // 결과를 출력합니다.

profile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인사이트를 얻는 것을 즐깁니다. 저 또한 인사이트를 주는 사람이 되고자 합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