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둘의 차이점은 file extensions 문자 수가 다른 것 이외에는 없다.
- file extensions 은 [file name].[file extensions] 라고 생각하면 된다.
-
JPG 와 JPEG는 pixel 단위로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렇기 때문에 확대를 하면 이미지 품질이 낮아질 수 있다. (즉, 이미지가 깨질 수 있다.)
-
이미지 품질 손실
- JPG와 JPEG로 이미지를 압축할 때마다 이미지의 품질이 낮아진다. 낮아지는 정도의 변화는 미미하지만 반복되면 기본 이미지와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 고화질의 이미지를 전송하게 되면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하려고 압축한다. 그럼 위와같이 이미지의 품질이 낮아진다.
JPEG
-
블로그 게시물,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 다양한 인터넷 매체에 사용되는 이미지 형
-
인터넷에 고속 업로드 및 다운로드에 최적화
-
디지털 카메라 사진, 이미지 캡처 사진 등
-
JPEG는 다른 이에게 빠르게 이미지를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데이터 압축방식을 사용하며 이미지 품질 손실이 이루어집니다.
-
손실 압축 방법은 손실 파일에서 불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제거합니다.
-
무손실 압축 방법은 이미지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원본 그대로의 이미지를 압축합니다.
JPEG 의 손실 압축방법은 편집이 여러 번 될 수록 이미지 품질저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번 하는 것은 좋지 않지만 편집 수가 적거나 전송을 여러 번하지 않으면 사용해도 무관할 정도의 손실이 일어나니 진행해도 좋다.
JPG
- JPG는 JPEG와 동일하며, 다른 점은 file extension 문자 수가 하나 적다는 것이다. JPEG 는 4개, JPG는 3개이다.
- Window 운영체제에서 file extension을 3자를 넘기지 말라고 제한하였기에 JPG가 탄생하였다.
- 여러 편집 프로그램에서 JPEG로 저장하면 Window와 MAC에서 JPG로 저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용어 정리
Raster Image : pixel-based Image
PNG
- JPEG 보다 저장공간을 많이차지한다.
- 고화질 사진보다는 웹 그래픽, 로고, 차트 등 저장
- JPEG 와 다른 점은 투명 배경의 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
손실 압축 vs 무손실 압축
- JPEG는 손실 압축에 해당한다. 편집을 여러 번 하거나 여러번 압축된 파일을 전송하면 그 만큼 파일을 압축한다. 즉,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 PNG는 무손실 압축이다. 기존에 파일이 그대로 전송되며, 압축되지 않으니 이미지 품질 저하를 일으키지도 않는다.
파일 사이즈
- JPEG는 파일을 압축하므로 큰 이미지를 작은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웹 페이지에서 이미지를 로딩할 때 오래 걸리지 않는다. 즉, 유저에게 이미지를 잘 보여줄 수 있다.
- PNG는 파일을 압축하지 않으므로 파일의 사이즈가 크다면 웹에서 해당 이미지의 로딩 시간은 오래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GIF를 생각해보자.
투명도
- JPEG는 투명 배경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PNG는 투명 배경을 지원하므로, 여러 색상의 배경과 어울러질 수 있습니다. 또한, 텍스트도 읽기 수월합니다.
디지털 사진 vs 웹 그래픽
- 디지털 사진은 JPEG를 사용합니다. 파일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여러 디지털 사진을 동시에 공유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PNG는 실제로 고품질 사진을 저장하도록 제작되지 않습니다.
파일 크기 단위
| 비트 | 바이트 | 킬로바이트 | 메가바이트 | 기가바이트 | 테라바이트 | 페타바이트 | 엑사바이트 |
---|
크기 | 0.125 | 1 | 1,024B | 1,024KB | 1,024MB | 1,024GM | 1,024TB | 1,024PB |
1KB (킬로바이트) = 1,024B (바이트)
1MB (메가바이트) = 1,024(킬로바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