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택토는 두 사람이 하는 게임으로 처음에 3x3의 빈칸으로 이루어진 게임판에 선공이 "O", 후공이 "X"를 번갈아가면서 빈칸에 표시하는 게임입니다.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3개가 같은 표시가 만들어지면 같은 표시를 만든 사람이 승리하고 게임이 종료되며 9칸이 모두 차서 더 이상 표시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무승부로 게임이 종료됩니다.
할 일이 없어 한가한 머쓱이는 두 사람이 하는 게임인 틱택토를 다음과 같이 혼자서 하려고 합니다.
틱택토는 단순한 규칙으로 게임이 금방 끝나기에 머쓱이는 한 게임이 종료되면 다시 3x3 빈칸을 그린 뒤 다시 게임을 반복했습니다. 그렇게 틱택토 수 십 판을 했더니 머쓱이는 게임 도중에 다음과 같이 규칙을 어기는 실수를 했을 수도 있습니다.
게임 도중 게임판을 본 어느 순간 머쓱이는 본인이 실수를 했는지 의문이 생겼습니다. 혼자서 틱택토를 했기에 게임하는 과정을 지켜본 사람이 없어 이를 알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게임판만 봤을 때 실제로 틱택토 규칙을 지켜서 진행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상황인지는 판단할 수 있을 것 같고 문제가 없다면 게임을 이어서 하려고 합니다.
머쓱이가 혼자서 게임을 진행하다 의문이 생긴 틱택토 게임판의 정보를 담고 있는 문자열 배열 board
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게임판이 규칙을 지켜서 틱택토를 진행했을 때 나올 수 있는 게임 상황이면 1을 아니라면 0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board
의 길이 = board[i]
의 길이 = 3board
의 원소는 모두 "O", "X", "."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board[i][j]
는 i
+ 1행 j
+ 1열에 해당하는 칸의 상태를 나타냅니다.board | result |
---|---|
["O.X", ".O.", "..X"] | 1 |
["OOO", "...", "XXX"] | 0 |
["...", ".X.", "..."] | 0 |
["...", "...", "..."] | 1 |
입출력 예 #1
예제 1번의 게임판은 다음과 같습니다.
O.X
.O.
..X
선공 후공이 번갈아가면서 다음과 같이 놓았을 때 이러한 게임판이 나올 수 있습니다.
물론 위와 다르게 머쓱이가 2행 2열에 O
, 3행 3열에 X
, 1행 3열에 X
, 1행 1열에 O
순서로 표시를 해서 실수를 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실수를 했을 가능성이 있는가"를 묻는 게 아닌 "이 게임판이 규칙을 지켜서 진행한 틱택토에서 나올 수 있는 상황인가"를 묻는 문제라는 것에 유의해주세요. 따라서 1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예제 2번의 게임판은 다음과 같습니다.
OOO
...
XXX
규칙을 지켜서 진행한 틱택토라면 선공과 후공이 번갈아가면서 각각 1행, 3행 중 두 칸씩에 표시를 한 뒤 5번째 차례에 선공이 1행에 가로로 3개의 O
를 완성했을 때 종료되므로 적어도 머쓱이가 게임이 종료된 후에도 계속 진행하는 실수를 했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고, 정상적인 틱택토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나올 수 없습니다. 따라서 0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X
가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선공 O
표시가 없이 X
만 있으므로 머쓱이가 O
를 표시해야 할 때 X
를 표시하는 실수를 했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고, 규칙을 지켜서 진행했을 때는 이러한 상황이 나올 수 없습니다. 따라서 0을 return 합니다.입출력 예 #4
Kihoon님의 블로그를 보고 큰 깨달음을 많이 얻었다.
알기쉽게 주석을 추가하며 정리를 했는데 사견
으로써의 몰랐던 주요 키워드는
틱택토
는 3X3
보드게임이므로 승리조건을 정리해 풀이할 수 있다.O
의 선공으로 시작되며, O
의 수는 항상 X
와 같거나 1개 많다.O
, X
중 하나가 먼저 끝난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이 성립해야한다.O
가 먼저 끝난경우 O - X
의 수는 항상 1
이다.X
가 먼저 끝난경우 O
와 X
의 수는 항상 같다.외에 같이 승리할 수 없다
는 조건이나 O
, X
의 개수는 같거나 O
가 더 많아야 하고 차이는 1
개 까지 날 수 있다는 조건은 흔히 생각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풀이하였음
function solution(board) {
const stringBoard = board.join("").split("")
// O, X 갯수 확인
const [OCount, XCount] = stringBoard.reduce((acc, cur, idx) => {
if(cur === 'O') return [acc[0]+1, acc[1]]
else if(cur === 'X') return [acc[0], acc[1]+1]
else return acc
}, [0, 0])
// O, X 승리여부 확인
const isOWon = winCheck(stringBoard, 'O')
const isXWon = winCheck(stringBoard, 'X')
// O, X 개수 차이 확인, 적어도 O 가 X 보다 수가 많아야하며, 이 차이는 2 이상 벌어질 수 없음
if(OCount < XCount || OCount - XCount > 1) return 0
// O, X 둘다 승리했는지 검사
if(isOWon && isXWon) return 0
// O의 승리 이후 종료되지 않은 경우
if(isOWon && OCount - XCount !== 1) return 0
// X의 승리 이후 종료되지 않은 경우
if(isXWon && OCount !== XCount) return 0
return 1
}
function winCheck(board, sign) {
// 승리 조건표
const win = [
[0, 1, 2],
[3, 4, 5],
[6, 7, 8],
[0, 3, 6],
[1, 4, 7],
[2, 5, 8],
[0, 4, 8],
[2, 4, 6],
];
// 승리 조건에 모두 같은 sign이 있다면 해당 플레이어 승리
for (const [first, second, third] of win) {
if (
board[first] === sign &&
board[second] === sign &&
board[third] === sign
) return true;
}
return fal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