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보고 느낀점 2차원 배열에서 테트로미노를 적절히 한개만 뽑아다가
가져다 놓으면서 최대값이므로 브루트포스로 접근해야 겠따 생각함.
회전이나 대칭이 가능하다고 하다.
-> 총 19개의 테트로미노가 나오고
기준점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가 관점이었다.
파란색 가로 막대기는 총 2번의 모양을 이룰 수 있다.
그 중에서 가로로 진행한다면
-> 위의 2번의 경우가 가능하고 그래서 코드를 이렇게 구현이 가능하다.
: 모든 범위에 대해서 완탐을 해야하므로, 2차원 배열의 사이즈만큼 돌려 돌려!!!!
이런식으로 진행
: 이번에는 파란색 막대기를 세우자
이런식으로 남은 17번을 진행....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조건 처리에 대한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