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전체 문자열 중에서 a의 개수를 구한다.
그리고 부분 문자열 (a의 개수 만큼 진행) 중에서 b의 개수를 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데 최소값을 구한다.
중요한 부분 : 마지막 인덱스를 기준으로 해서도 부분문자열을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a의 개수는 총 8개 이므로 부분문자열의 길이는 8개 이고, 마지막 인덱스를 기준으로 해서 한다면 0번 ~ 7번 인덱스까지 넣은 부분문자열까지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