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문 돌리면서 pq.top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pq.pop 해버리기
예시가 하나만 있다면 거기에 속지 말고, 반례를 생각하자.
문제를 읽어보고
만약
데드라인, 컵라면수 라고 하자.
(6,10) (1,5) (1,15) (1,2)
인데 그러면 6의 경우는 1day에도 할 수 있다는 건데
그런데 굳이 1day에 해서 최대값이 나올것인가??? 를 생각 할 수 있따.
(1,5) (1,15) (1,2) (6,10) 이렇게 배치할 수 있고,
1의 경우에는 second 값이 큰거를 고르기만 하면 된다.
최대값을 만들어라 문제는
최대를 많이 하게 하고? 최소를 적게 해야 한다?
-> 최대값은 그리디 문제이고, 정렬 그리고 pq를 통해 처리할까? 라는 생각을 가지고 접근하자.
pq에 day,cnt를 넣을 건데, pq의 count값과 넣으려는 day값이 동일하다는 것은 이미 pq의 데드라인과 나의 데드라인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뭔가 pq를 통해서 어떻게 처리할수 있을까?? 를 생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