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5. 후위표기식.

·2025년 9월 10일
0

백준 알고리즘

목록 보기
237/272

풀이전략

: 스택

왜 틀렸을까?

: 연산자 계산하는 방법이 잘못됨.

  • 내 생각은 이렇다.
    피연산자를 계속 쌓다가. 연산자가 피연산자 개수 -1 만큼 들어왔을 때 계산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했다.

  • 코드는 이렇다.

-> 막상 이렇게 했는데 틀렸다.

발전하기.

코테에서 완벽하게 구현했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틀리게 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렇다고 코드 전부 다 지워서 다시 코드를 변경하기에는 그렇다.

  • 이럴 때는 진정하고, 반례를 작성해보자.

  • 지금 내가 작성한 거는 입력 예제를 통해서 나만의 코드로 작성한 거일 뿐이다.

  • 문제를 다시 읽어보면 , 반드시 입력 예제처럼 작성해야 한다고
    규칙을 정하지는 않았다.

  • 즉 그렇다면 이렇게도 작성이 가능하겠는데?
    ABAA+A--* A : 3 , B : 2
    이런식으로도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나의 코드에 집어 나오는 결과와 나의 생각을 비교할 필요도 없다!!
    나의 코드 구현한 생각과는 전혀 다르다.

  • -> 문제 전략을 잘못 생각했다.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 문제를 읽어보고, 입력 예제 뿐 아니라, 반드시 이러한 규칙대로 입력을 꼭 작성해야만 하는 것인가??? 를 생각해보자.

  • 나의 전략은 연산자 개수 - 1만큼의 피연산자 발생했을 때 계산하자! 이다. 인데.. 음... 과연 이 입력 예제만 정답일까?
    라는 생각을 해야 한다.

  • 솔직히 내가 문제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고 난독증일 수 도 있다.
    문제에서도 후위 연산식 을 어떻게 계산하라는 말이 없어서
    어떻게 하라는 거야? 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나의 전략은 반드시 위의 2개의 입력 예제를 토대로 만든 코드이다.
    -> 입력 예제를 의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profile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