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stPos까지의 최단경로가 아니다. destPos까지 가는데의 최소 거울의 수를 구하는 것이다.
: 방문처리에 대해 생각해보자.
-> 맞게 했는데도 테케 통과하지만, 3퍼센트에서 틀린다.
최대 100*100 의 공간 안에서 이와 같은 조건으로 큐에 집어넣으면서 처리하고 있다. 그리고 솔직히 visited 불처리가 아니기 때문에
큐 넣는 비율이 굉장히 커질 수 있다.
최단경로 구할때 사용한 visited 변수인데, 어떠한 정보를 토대로 해서 재방문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
-> 잘못 건드리면 메모리 초과발생한다.
: 기존에 했던 bfs로 하면 안됨을 의미하기 때문에
해결 전략을 다시 생각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문제를 보고 bfs다! 해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 문제에 맞는 방법의 코드를 작성하려고 노력하자.
일단 확실히 알 수 있는 거는 거울이 없다면 타겟 pos에 대해서
모든 직선거리는 동일한 값을 가진다.
1) 한줄을 그냥 싹다 그어버리자.
2) 그러면서 중간에 벽이 있다고 하면 정지!
전부 1로
전부 2로
전부 3으로
전부 4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