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순차적 자료구조 소개

yoon·2025년 7월 10일
0
post-thumbnail

1. 배열, 리스트

  • index로 임의의 원소를 접근할 수 있다.
  • 연산자 []로 접근할 수 있다. 상수시간(O(1))에 값을 알 수 있다.
  • 삽입: push, shift
  • 삭제: pop, unshift

2. Stack, Queue, deQueue

  • 제한된 접근(삽입,삭제)만 허용한다.

Stack

  • LIFO(Last In First Out)
  • 마지막에 들어간 것이 첫번째로 나오는 특징
  • push: 아래에서부터 차곡차곡 삽입된다.
  • pop: 맨 위 값(가장 나중에 들어온 값)에서부터 삭제한다.

Queue

  • FIFO(First In First Out)
  • 처음 들어간 것이 첫번째로 나오는 특징 (은행 줄 기다리기)
  • push : 삽입은 아래서부터 차곡차곡 쌓인다.
  • pop: 삭제 역시 아래의 값(가장 먼저 들어온 값)부터 수행한다.

deQueue

  • stack + queue 자료구조
  • 삽입은 위, 아래로 수행할 수 있다.
  • 삭제 역시 위, 아래로 수행할 수 있다.

3.linked list(연결리스트)

  • 데이터를 저장할 때, 각 요소가 다음 요소의 주소(포인터)를 함께 저장해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 자료구조
  • 인덱스를 바로 접근할 수 없다.
  • 포인터로 요소들을 연결해 만든 유연한 자료구조
    → 삽입/삭제엔 강하지만, 인덱스 접근은 느림
profile
Frontend Developer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