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는 즉 data를 말하며 해당 데이터를 담는 저장공간(memory)이 필요
=> 데이터 값의 모임
저장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읽기, 쓰기, 삽입,삭제, 탐색"와 같은 연산을 제공하여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gcd(8, 12) => max {1,2,4} => 즉, 4!
gcd(a, b) {
while(a !== 0 && b !== 0) {
if(a > b) a -= b;
else b -=a;
}
return a + b; // 둘 중에 하나가 0일테니
}
하지만 큰 수가 100, 작은 수가 2와 같이 큰 차이가 나는 두 수라고 하면 반복되는 횟수가 많아진다.
gcd(a, b) {
while(a !== 0 && b !== 0) {
if(a > b) a %= b;
else b %= a;
}
return a + b;
}
1번 방식으로는 gcd(2,100) -> gcd(2,98) -> gcd(2, 96)... gcd(2,0) 으로 2가 나오지만,
2번 방식으로는 gcd(2,100) -> gcd(2, 0) 한 번 만으로 결과 출력 가능
즉 더 빠른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음
해당 자료는 유튜브 신찬수 한국외대 교수님 강의를 시청하며 작성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