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 frontend-developer ]

Vue.js(2) Component/Router

Vue.js 컴퍼넌트 통신 >상위 컴포넌트 ---> 하위 컴포넌트 props 전달 >하위 컴포넌트 ---> 상위 컴포넌트 event 발생 props >props속성은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는 컴포넌트 통신법이다. props속성을 기억할 때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내려주는 속성이라 기억하자 props 속성 코드 >props속성을 이용하려면 하위 컴포넌트의 내용을 상위 컴포넌트 탬플릿에 각각 코드를 추가해 주어야한다. 코드를 보자 Event 발생 >이벤트 발생은 컴포넌트 통신 방법중 하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통신하는 방법이다. event 발생 코드 형식 Vue Router >view router란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SPA를 구현할 때 사용한다. 설치 npm install vue-router router 등록 >설치이후 아래처럼 라우터 인스턴스를 하나 생성하여 뷰 인스턴스에 등

2021년 1월 1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TIL-wecode 22일차

🍎Component >🙈React는 Component로 구성된다. component는 한글 해석한 것과 같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컴퍼넌트는 페이지를 구성하고 여러단위로 쪼개면 component안에 component가 생기므로 부모-자식 구조의 관계가 생성된다. 🍎State >👍컴퍼넌트의 상태 > >👍값이 변경시킬 수 있다.(Ex> Id,password) > >👍하나의 component내에서만 사용합니다. 만약

2020년 12월 8일
·
1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