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 Loopback (Hairpin NAT)이란?

kyu123·2025년 2월 15일
0

NAT Loopback (Hairpin NAT)이란?

NAT Loopback(또는 Hairpin NAT)은 내부 네트워크에서 공인 IP를 사용하여 내부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 NAT Loopback이 필요한 이유

기본적으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예: 10.1.16.163)를 공인 IP(예: 203.229.206.200)로 변환하여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내부 클라이언트가 공인 IP(203.229.206.200)로 접근하면 일반적인 NAT 구조에서는 라우터가 트래픽을 내부로 다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AT Loopback (Hairpin NAT)을 설정하면 내부 클라이언트가 공인 IP를 사용하더라도 NAT 장비가 이를 내부 IP로 변환하여 제대로 동작하게 됩니다.


📌 NAT Loopback이 필요한 주요 상황

1️⃣ 내부 사용자도 공인 IP로 서비스 접근 가능해야 할 때

  • 문제: 내부 네트워크에서 example.com이 공인 IP 203.229.206.200로 해석됨.
  • 문제 발생: 내부에서 203.229.206.200으로 접속하면 NAT 장비가 이를 외부로 보내지 못해 접속 불가.
  • 해결: NAT Loopback을 설정하면 내부에서도 203.229.206.200 → 10.1.16.163으로 변환되어 정상 동작.

결과: 내부 사용자도 외부 사용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서버를 이용할 수 있음.


2️⃣ 내부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도메인/주소 사용 필요

  • 문제: 내부와 외부에서 서버 접근 방식이 다르면 설정 및 유지보수가 어려움.
  • 예제:
    • 내부: http://10.1.16.163
    • 외부: http://example.com
  • 해결: NAT Loopback을 설정하면 내부에서도 example.com → 203.229.206.200 → 10.1.16.163으로 접근 가능.

결과: 내부/외부 사용자 모두 같은 도메인과 IP로 접근 가능하여 관리가 편리함.


3️⃣ SSL/TLS 인증 문제 해결

  • 문제: SSL 인증서는 도메인(example.com)을 기준으로 발급됨.
  • 문제 발생: 내부에서 10.1.16.163으로 직접 접속하면 SSL 인증서 오류 발생.
  • 해결: NAT Loopback을 통해 내부에서도 example.com → 203.229.206.200 → 10.1.16.163으로 접근 가능.

결과: SSL/TLS 인증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내부에서도 HTTPS 사용 가능.


4️⃣ 일부 애플리케이션 및 방화벽 정책 호환성

  • 일부 방화벽, WAF(Web Application Firewall) 등은 공인 IP를 기준으로 접근을 허용함.
  • 내부에서 사설 IP로 접근하면 차단되지만, NAT Loopback을 설정하면 정상 접근 가능.

결과: 방화벽, WAF 설정을 유지하면서도 내부 사용자 접근이 가능.


🌐 NAT Loopback (Hairpin NAT) 동작 과정

  1. 내부 클라이언트가 203.229.206.200으로 요청
  2. NAT 장비가 이를 내부 IP 10.1.16.163으로 변환
  3. 내부 서버(10.1.16.163)가 응답
  4. NAT 장비가 응답을 내부 클라이언트로 전달

결과: 내부에서도 공인 IP를 통해 내부 서버에 접근 가능.


🛠 WatchGuard에서 NAT Loopback 설정 방법

1. NAT 규칙 추가

  • 203.229.206.20010.1.16.163 (External NAT)
  • 203.229.206.20010.1.16.163 (Internal NAT)

2. 방화벽 정책 확인

  • NAT 규칙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
  • 필요한 프로토콜(TCP/UDP 등)이 허용되었는지 확인.

3. DNS 설정 확인 (옵션)

  • 내부 DNS에서 example.com10.1.16.163으로 설정할 수도 있음.
  • 하지만 NAT Loopback을 설정하면 내부에서도 203.229.206.200으로 접근 가능.

🚀 결론

✔ NAT Loopback (Hairpin NAT)은 내부에서도 공인 IP를 통해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동일한 도메인/IP를 사용하여 내부-외부 접근 방식 통일 가능
✔ SSL/TLS 인증 문제 해결 가능
✔ 애플리케이션 및 방화벽 정책과의 호환성 유지

📌 WatchGuard에서 External + Internal NAT을 설정하면 NAT Loopback이 적용됨
👉 내부에서도 외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서버 접근 가능! 🚀

profile
네트워크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