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K 부하 분산 알고리즘 (LB-Method)
PAS-K L4 스위치에서 Real Server를 선택하는 방식(LB-Method)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1. Least Connection (lc)
- 현재 연결 수가 가장 적은 Real Server로 트래픽을 분배합니다.
- 서버 간 부하를 균형 있게 유지하며, 긴 세션이 많은 환경에서 유리합니다.
2. Round Robin (rr)
- 모든 Real Server에 순차적으로 트래픽을 분배합니다.
- 서버의 상태나 성능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순서대로 요청을 분배합니다.
- 균등한 부하 분산이 가능하지만, 각 서버의 처리 능력이 다를 경우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3. Source Hashing Algorithm (sh)
- 클라이언트의 소스 IP를 해싱하여 특정 Real Server로 트래픽을 분배합니다.
- 동일 클라이언트 요청이 항상 같은 서버로 전달되므로, 세션 일관성(Session Persistence)이 필요한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4. Source IP & Port Hashing Algorithm (sh-port)
- 클라이언트의 소스 IP와 포트 정보를 해싱하여 특정 Real Server로 트래픽을 분배합니다.
- 동일한 IP라도 다른 포트로 요청 시 다른 서버로 전달 가능하므로, 더 세밀한 분배가 가능합니다.
5. Weighted Least Connection (wlc)
- 서버의 가중치(Weight)를 고려하여, 연결 수가 적은 서버에 우선적으로 분배합니다.
- 각 서버의 처리 능력에 따라 트래픽이 분배되므로, 성능 차이가 큰 서버가 포함된 환경에서 효과적입니다.
6. Weighted Round Robin (wrr)
- 서버의 가중치(Weight)를 기반으로, 순차적으로 트래픽을 분배합니다.
- 높은 가중치를 가진 서버가 더 많은 요청을 처리합니다.
- 성능이 우수한 서버가 더 많은 트래픽을 처리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결론
각 부하 분산 알고리즘은 환경에 따라 적합한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트래픽 유형, 서버의 성능 차이, 세션 유지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