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및 보안 기본 개념 정리

kyu123·2025년 5월 28일
0

네트워크 및 보안 기본 개념 정리

1.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는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만 호스트 IP로 할당할 수 있게 만들어
네트워크 낭비를 방지합니다.


2. 서브네팅

네트워크 성능 보장자원 효율 분배를 위해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쪼개는 작업입니다.


3.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라우터나 3계층 장비 없이도 통신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도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범위를 의미합니다.


4. 인바운드 (Inbound)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트래픽입니다.


5. 아웃바운드 (Outbound)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트래픽입니다.
(※ 기존 설명에서 '들어오는' → '나가는'으로 정정)


6. 디도스 (DDoS)

여러 대의 컴퓨터(좀비 PC, 봇넷 등)를 이용해
하나의 서버나 네트워크 자원에 과도한 트래픽을 몰아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을 방해하는 공격입니다.


7. IDS / IPS

항목IDS (탐지)IPS (차단)
기능비정상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알림비정상 트래픽을 자동으로 차단

8. 랜섬웨어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거나 시스템을 잠근 뒤,
이를 복구해주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입니다.


9. VPN (Virtual Private Network)

공용 인터넷을 이용해 사설 네트워크처럼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즉, 인터넷 위에 암호화된 터널을 만들어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을 보안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10.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연결 지향형 전송 프로토콜
  • 신뢰성 보장, 순서 보장, 재전송 가능
  • 3-way 핸드셰이크로 연결 설정 후 데이터 전송
  • 느리지만 안정적

11. UDP (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형 전송 프로토콜
  • 빠르지만 신뢰성 없음, 순서 보장 없음, 재전송 없음
  • 연결 설정 없이 바로 데이터 전송

12. 최소 권한 원칙 (Least Privilege Principle)

불필요한 트래픽은 기본 차단하고,
업무상 필요한 포트/IP만 허용하는 원칙입니다.
→ 보안 사고 최소화, 내부 오용 방지 목적


profile
네트워크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