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열을 이용한 [콘서트 예약 서비스] - Interceptor 적용을 하면서 생긴 고민에 대해서

Kyungmin·2024년 10월 25일
0

Spring

목록 보기
28/39

콘서트 예약 서비스에서 처음 유저를 등록하는 API 를 제외하고는 모두 대기열 토큰을 발급받아 토큰이 유효한지 확인한 후 API 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해놨었다.

하지만 이번에 Interceptor 를 적용하면서 컨트롤러에 진입하기 전, 서비스 로직에서 토큰을 일일이 확인하는 것이 아닌 Interceptor 에서 먼저 토큰을 확인하도록 리펙토링을 진행하였다.

내가 생각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Interceptor 적용 전

2. Interceptor 적용 후

이를 구현하면서 생긴 고민들은 다음과 같다.

  1. token 을 Interceptor 에서 찾을 때, request.getParam("") 이 아닌 request.getHeader("") 로 하여 컨트롤러에서 @RequestParam String token 을 사용하지 않도록 변경해야겠다고 생각.
    어짜피 Interceptor 에서 token 을 확인하기 때문!
  1. 만약 1번과 같은 흐름이라면, 대기열 토큰을 발급하는 로직에서 발급되는 token 을 받아 저장할 때(Interceptor에서 사용하기 위해), DB 말고 다른 곳에서 가지고 있다가 Interceptor 에서 사용을 하는건가? 아니면 DB 에서 가지고 오는건가?

-> 추후 고민해보고 해결한 방법을 가지고 오겠습니다.

profile
Backend Developer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