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변수와 자료형

sesame·2021년 8월 4일
0

Java

목록 보기
2/25

bit: 데이터 저장 최소단위로서 2진수 값 하나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byte: 데이터 처리 또는 문자의 최소단위 //8bit = 1byte

기본 자료형(Type)

> 논리형

  • boolean(1byte): True/False

> 문자형

  • char(2byte): 문자 하나를 유니코드 기반으로 표현, 문자는 작은 따옴표(‘’)로 표현, 저장시 실제는 유니코드 값 저장

    한글 1글자 3byte

  • string(문자열)(참조형)

> 정수형

  • byte(1byte)
  • short(2byte)
  • int(4byte)
  • long(8byte): int의 범위보다 큰 수를 할당할 때는반드시 마지막에 L/l을 붙여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compiler가 - int로 인식하고 에러

> 실수형
실수형 리터럴은 double 형이 기본, 실수형 리터럴을 float형 변수에 저장하면 에러, 정수형 타입과 저장방식이 다름(더 큰 값 저장 가능)

  • float(4byte): 반드시 마지막에 F/f를 붙여야한다. //float i = 3.2f;

    • 2.1f * 1.4f = 2.9399998 //계산기로 계산한 결과 2.94
    • 실수형은 더 넓은 범위의 실수 값을 표현할 수 있지만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 지수로 표현되는 값이 0을 나타낼 수 없기 때문
  • double(8byte): float형 보다 2배의 정밀도를 가진다 //double = 3.2;

    • 정밀도: 변수가 얼마나 많은 유효숫자를 가질 수 있는지

> 변수: 메모리에 값을 기록하기 위한 공간

  •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 제한 x
  • 예약어 사용 x
  • 숫자로 시작 x
  • 특수문자는 _와 $만 허용
  • movieId, userAge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