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차 클라우드네트워크 과정

📊서인혁·2024년 4월 30일
0

계층별 장비

4~7
응용계층 장비: 서비스의 종류로 따진다.문맥을 따져 필터링
다계층 장비 :L4 스위치(응용프로그램에대한 분산기능), 게이트 웨이
3계층 장비 : L3스위치,Router
2계층 장비 :L2스위치(하드웨어적 처리), Bridge(소프트웨어적 처리) => mac주소를 기반으로해서 내/외부 구분
1계층 장비 :Repeater(디지터신호증폭), Amplifier(아닐로그신호증폭)

매체의 종류에따라 커넥터 형싱이 달라지면서
동시에 구성도(topology)가 달라짐

인터페이스: 기계와 기계간의 경계

L3는 L2기능과 L3 기능을 둘다 가능함

AS(Auto system)

계층별 프로토콜

7계층: http,DNS,ftp,tftp,pop2,pop3,smtp,
telnet,https,pgp,pem,s/mime,ssh...

6계층: jpg,mp3,mp4,ASCII,EBCDIC

5계층: OS,RPC, SQL,SSL
4계층: TCP,UCP,SPX
3계층:

  • Routed protocol : ip,ipx, apple,talk
  • Routing protocol : rip,igrp,ospf,eigrp,bgp
  • IPSec,icmp,igmp,arp,rarp

2계층
-LAN용: mac,lic
-WAN용: sdlc,hdlc,x.25,frame-relay,atm,ppp(pap,chap),L2F,PPTP,L2TP

1계층
topology, cable,connector , hub

장비별 주요 기능

계층장비종류주요기능프로토콜
다계층L4스위치부하 분산TCP/UDP
3계층L3스위치,라우터패킷 스위칭,경로 선택IP
2계층L2스위치,브릿지신호재생,프레임 스위칭MAC,LLC
1계층NIC(pc,서버)신호변환,신호증폭,매체,커넥터Bit

주요 메모리 기능

계층읽기쓰기휘발성주요기능명령어
RAM000실행중인 정보저장sh run
ROM0xxboot sequence,Mini IOSsh version
flash00xIOSsh flash
NVRAM00x설정내용sh start

back of Algorithm : 충돌 발생이후 전송 시스템은 임의의 시간을 대기 후 최대 19회 재전송.

hubs/wrouter
충돌 도메인전체1개포트별로포트별
브로드캐스트전체1개전체1개포트별

라우터는 항상 모든걸 세팅해주어야 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만 넘긴다
스위치는 연결된 pc가 독자적인 속도를 갖는다


브릿지와 스위치의 기본기능

-러닝,플로딩,포워딩,필터링,aging
스위치와 브릿지의 출발지는 mac주소를 기반으로 한다.

브릿지와 스위치의 차이점

데이터 처리 방식은 스위치가 소프웨어적으로 처리함으로 브릿지보다 빠름
스위치는 10메가 포트와 100메가 포트가 한장에 같이 있어도 연결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frame 처리방식

  • store -and- forwarding : 데이터 프레임을 모두 받아드리고 나서 프레임이 목적지 주소와 이상 유무를 파악한뒤 처리하는 방식
  • cut-though :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만 확인한 후에 바로 처리를 시작함
  • Fragment-free : 상기 2가지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 전체 프레임을 모두 살펴 보는것이 아니라
    512비트를보게됨 해더 전부 체크 가능하다

그밖에 스위치 기능

  • 장애내성: 장애가 있을것을 미리 예측하여 장애를 대비하는 것
    STP: 장애 내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능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STD가 활성화 되어 있음
  • load balrancing(부하분산): 이중 장비나 이중 회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둘 이사이의 차이점은
    주와 보조 로 각각 역할을 구분함
    Etherchannel:부하분산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능 한회선 문제 발생시 회선에 모든 부하가 쏘림
    부하 분산은 기본적으로 장애내성을 보유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 사이의 패킷을 전달하는 장비이다. 메트릭(metric)을 기준으로 최적의 경로 계싼
metric 구성 요소 : hop count,bandwithdh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공통 부분과 개별부분을 구분해 주는 식별자

IPV4 주소 체계

classMSB
A class0
B class10
C class110
D class1110
E class1111

IP가 있다는 전제로 IP주소에서 공통된 부분과 개별부분을 구분하는 식별자로 사용됨
Class 별 기본(디폴트) 서브넷 마스크가 존재
A class :255.0.0.0
B class :255.255.0.0
C class :355.255.255.0

IP주소 범위는 결국 브로드 캐스트 영역을 구분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시스템의 숫자에 맞춰 이를 최적화 할 필요가 있다.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전화망과 유사한 공중 스위칭 데이터 네트워크입니다.

프라이빗 IP 주소(Private IP Address) :

인터넷 상에서 공용으로 사용되지 않고, 특정한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되는 주소입니다. 이러한 주소는 인터넷에서 고유하지 않으며, 각각의 네트워크에서 중복되어 사용될 수 있습니다.인터넷 상에서 라우터나 게이트웨이를 통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통해 공용 IP 주소로 변환되어 외부와 통신하게 됩니다.

  •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전화망과 유사한 공중 스위칭 데이터 네트워크입니다.

Autoconfiguration IP Address :

자동으로 할당되는 IP 주소를 의미합니다.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서버가 네트워크에 존재할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는 DHCP를 통해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받아옵니다.
  • APIPA (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DHCP 서버가 없는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APIPA를 통해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받습니다. APIPA는 169.254.0.0/16 대역에서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합니다.

Loopback address:

네트워크 장치가 자신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한 주소입니다.
IPv4에서는 Loopback 주소로 127.0.0.1을 사용합니다. 이는 전체 대역으로 127.0.0.0/8입니다.

자가 식별용 주소(Self-Identifying Address):

A class 주소 주에서 0.0.0.0/8 의 주소를 의미함

Network ID :호스트부분이 모두 이진수 0처리된 주소
Direct broadcast: 호스트 부분이 모두 1처리된 주소
브로드캐스트 IP : 호스트 부분이 모두 이진수 1
유니캐스트 IP : 호스트 부분이 이진수 0,1 조합 => 장비 할당이 가능한 주소
멀티 캐스트 IP : D Class(MSB 1110)주소

Major network: 각 클래스별 기본 서브넷 마스크
Sub network: 서브넷 마스크 길이 연장
super network:서브넷 마스크 길이 축소
*각 클래스별 기본 서브넷 마스크가 전제.

profile
데이터전문가가 되고 싶은 취준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