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수업 1일차

📊서인혁·2024년 4월 23일
0
post-thumbnail

시뮬레이터 종류

  • packet tracer : Cisco
    장점:ios를 쓰지 않아 가볍다 --> 속도가 빠름
    단점: 디테일한 구성을 할 수 없다.

    https://www.netacad.com/
    시스코 홈페이지

  • GNS3
    장점 : 실제 ios 위에서 돌아간다.
    단점 : 무겁다
    https://www.gns3.com/
    GNS3 홈페이지

장비 종류

스위치(SWITCH): 데이터를 보냈다가 끝었다가 하는 장비
라우터(Router): 경로 설정하는 장비이고 항상 경로 효율성 고려해야함
스위치와 라우터 공통점: 무언가를 연산하고 프로세싱이 있다.

Hub:연산 기능이 없음(아무생각이없다)-> 자신과 연관있는 모든 포트에
연결시킨다.

데이터 전송방식

1. 유니캐스팅 (Unicasting)

네트워크상의 한 송신자가 특정 수신자 하나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효율성: 데이터가 정확히 필요한 수신자에게만 전송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최소화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안: 데이터가 지정된 수신자에게만 전송되기 때문에 보안 수준이 높습니다.
  • 충돌 감소: 특정 수신자에게만 데이터를 보내므로 네트워크 충돌의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2. 브로드캐스팅 (Broadcasting)

네트워크상의 한 송신자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간편성: 한 번의 전송으로 네트워크상의 모든 기기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설정과 관리가 간편합니다.
시간 효율성: 동시에 많은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보낼 수 있으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종류:

IOS(Internetwork operating System):

라우터 및 스위치에 사용되는 펌웨어 기반 운영 체제입니다. 이 운영 체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라우팅 및 스위칭 작업을 관리하고, 데이터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NOS(Network operating System):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컴퓨터 및 장치들 사이의 통신과 자원 공유를 관리하는 운영 체제입니다. 이 운영 체제는 파일 서버, 프린터 서버, 이메일 서버 등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와 장치 간의 데이터 및 자원 공유를 가능하게 합니다.


퀴즈!통신의 단가는 무엇과 관련 있는가?
정답: 트래픽 과금과 관련이 있다.


Cisco 네트워크 자격증 종류

CCIE 최상위
CCNP 중급
CCNA 기본


packet tracer 둘러보기

메인 화면

여기서 필요한 기기들을 가져와서 세팅한다!


윈도우 기준 ctrl 맥 기준 cmd 누르면고 위와 같이 지금 표시가 나오면
디바이스를 여러개 생성 가능하다

번개 아이콘을 클릭하면 기기간에 연결 할 수 있는 선이 나타난다.

각 선마다 케이블을 이야기하는데 하나하나 살펴보자
이 번개 같은건 오토매틱 선택 케이블이다. 이 시뮬레이션 안에서 기기연결에 있어서 자동으로 이어주는 케이블이다.

consle 케이블 기기간의 직접연결 표시 할때 쓰인다.


straight cale 은 다이렉트 케이블이라고 불리기도하며 ,서로 다른 장비 연결할때 사용한다.

cross over = 서로 같은 장비 연결할때

위에 활성화된 부분은 라우터 볼 수 있는 곳이다.
숫자가 높을 수 록 좋다고 한다.
스위치:2960 주로 쓸예정

기기간의 상태 확인

녹색 삼각형: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빨간 삼각형: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 가능하다.



위에 사진은 Ping IPv4 주소 한 사진이다.
위에 빨간색같에 있는
TTL 홉과 관련이 있음

  • Hop: 3계층 장비이고
    => 기준값: 64,xxx,xxx,255
    64,225 리눅스 기반으로 운영된다.
    가운데2개 윈도우 기반으로 운영된다.
    아마도 윈도우 기반으로 추측된다!

게이트 웨이란?

다른 네트워크로 나갈때 사용함

Node란?

통신 가능한 장비 ex) 휴대폰,팩스 등

*암기

식별자
장비 식별자*
-IP : 논리적 주소
-MAC : 물리적 주소
-Netbios : 장비 이름

LED 색의 상태

그린:연결됨
엠버(주황색):엽상하는 상태
레드:연결 안됨

통신의 방향

일방향(simplex): 한쪽에서 신호를 주기만함 ex)라디오,
양방향(Duplex) : 양쪽에서 신호를 주고 받음 ex) OTT 서비스
- Half Duplex(반이중) ex) 무전기
- full Duplex(전이중) ex) OTT,휴대폰


인터페이스 변천사

  • CLI(Command Line Interface) : 명령어를 써서 컴퓨터를 제어
  • GUI(Graphic User Interface) : 바탕화면 아이콘 클릭 하여 제어
  • VUI(Voice User Interface) : 소리로 제어

RAM 과 ROM 차이

  • RAM: 휘발성,임의 기억
    1.SRAM:공급되는 전압이 고정적이다.ex)Cache,Butter
    2.DRAM: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됨 ex).RDRAM,SDRAM,DDR

  • NVRAM(비휘발성 램):
    컴퓨터나 기타 전자 장치가 전원을 꺼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메모리 형태

  • ROM: 비휘발, 기억
    최초에 ROM 데이터를 넣는 장비 "ROM 프로그래머" 또는 "EPROM 프로그래머"라고 한다.
    미니 IOS 위치는 rom에 있음.

    subet mask란?

    IP 네트워크에서 특정 네트워크의 호스트 부분과 네트워크 부분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숫자입니다. 이 마스크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그룹 또는 서브네트로 나눌 수 있게 해줍니다.

    명령어 확인하는 방법

    업로드중..

    네트워크 장비마다 명령어가 다르다!

    ? 적으면 help 기능이 나타남

    Parity:

    데이터 전송에서 에러를 감지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됨.
    패리티는 전송되는 데이터 비트에 추가적인 비트를 포함시켜 데이터가 전송 중에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패리티 체크는 주로 통신과 데이터 저장에서 사용되며, 단순한 오류 감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ex)오류 체크 (짝수,홀수)


    "강의에 나왔으나 잘 모르는 단어"

FSB:Front Side Bus"의 약자로, 컴퓨터의 CPU(중앙 처리 장치)와 메인 메모리(RAM) 또는 다른 구성 요소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요 데이터 통로입니다.

대칭 암호화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

이 방식은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그 효율성과 실행 속도 때문에 많은 시나리오에서 적합합니다.
대칭 키 암호화는 하나의 비밀 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동일한 키를 사용해 데이터를 다시 원래 상태로 복호화합니다.

옥탯(Octet) : 일반적으로 8비트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컴퓨터와 네트워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1옥텟은 8개의 이진 숫자(0 또는 1)로 구성됩니다.
이 8비트의 조합으로, 0부터 255까지의 숫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옥텟은 데이터 크기를 표현하거나 네트워크 주소를 지정할 때 사용됩니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해당하는 MAC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주로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환경에서 활용되며,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물리적 주소 정보를 얻는 데 필수적입니다.

플로딩(flooding):

받은 패킷을 네트워크의 모든 가능한 경로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보내는 과정을 말합니다.

백오프 알고리즘(Backoff Algorithm):데이터 통신에서 충돌 발생 후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재전송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주로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며

IRQ(Interrupt Request):컴퓨터 하드웨어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또는 메시지입니다.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에게 특정 장치나 소프트웨어가 주의를 요구하거나 즉시 처리가 필요한 작업이 있음을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IRQ는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예: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네트워크 카드 등)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CPU는 이러한 인터럽트 요청에 반응하여 해당 장치의 요구를 처리합니다.

Trunk port : 프레임에 valn 꼬리표를 다는 포트

@규모에 따른네크워크 분류@

  • LAN
  • MAN
  • WAN

하나의 네크워크가 하나의 랜이다?!

LAN = Ethernat통신
Ethernet = CSMA/CD = MAC = 802.1
CSMA/CD(Carrier Senc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 매체쟁탈방식이고 충돌방식(유선방식)

CSMA/CA(Carrier Senc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
: 이 기술은 데이터 전송 충돌을 미리 감지하고 회피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
(무선 방식)


VLAN(Virtual LAN)

  • 물리적 위치에 상관없이 논리적 그룹화
  • 브로드 캐스트 영역을 나눔
    ==> 네트워크 성능 항상
  • 불필요한 트랙픽 제한으로 보안성 항상

숙제

진수 변환
2이진수<=> 10진수 <=> 16진수
8bit 기준 으로 빠르게 되도록 공부하기

논리회로 영상
AND,OR,XOR 공부하기

ex) XOR: 입력값이의 1이 홀수인 경우 결과값 나타낸다.
데이터 복구도 베타 논리합(XOR)으로 한다...


그밖에 잡다한 지식들

경우의 수
ex)1bit 경우의수 는2개
2bit 경의수 4개
....

알수 없는 없는건 모두 1처리 한다.
mac 주소는 라우팅이 안된다???
라우팅은 홉을 지나서 다른 네트워크로 넘어갈 수 없다.
MAC은 휘발시간이 있다...

Q1. 장비 속도 때문에 생기는 남는 트랙픽을 어떻게 하나?
butter 라는 기능이 있음

그밖에 명령어들

 int fa0/1
swith chport access valn 10
do fa0/2

sw acc valn 10

do sh van


show run - 구성장비 알려줘 단축키
copy run start 등..
profile
데이터전문가가 되고 싶은 취준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