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969: DNA

rang-dev·2020년 3월 28일
0

코딩테스트 연습

목록 보기
3/13
post-custom-banner

풀기실패 - 풀이 참고(pjok1122님)

문제

DNA란 어떤 유전물질을 구성하는 분자이다. 이 DNA는 서로 다른 4가지의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져 있다(Adenine, Thymine, Guanine, Cytosine). 우리는 어떤 DNA의 물질을 표현할 때, 이 DNA를 이루는 뉴클레오티드의 첫글자를 따서 표현한다. 만약에 Thymine-Adenine-Adenine-Cytosine-Thymine-Guanine-Cytosine-Cytosine-Guanine-Adenine-Thymine로 이루어진 DNA가 있다고 하면, “TAACTGCCGAT”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Hamming Distance란 길이가 같은 두 DNA가 있을 때, 각 위치의 뉴클오티드 문자가 다른 것의 개수이다. 만약에 “AGCAT"와 ”GGAAT"는 첫 번째 글자와 세 번째 글자가 다르므로 Hamming Distance는 2이다.

우리가 할 일은 다음과 같다. n개의 길이가 같은 DNA가 주어져 있을 때(이 DNA를 a1a2a3a4...이라고 하자) Hamming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DNA s를 구하는 것이다. 즉, s와 a1의 Hamming Distance + s와 a2의 Hamming Distance + s와 a3의 Hamming Distance ... 의 합이 최소가 된다는 의미이다.

입력

첫 줄에 DNA의 수 N과 문자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그리고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N개의 DNA가 주어진다. N은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M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Hamming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DNA 를 출력하고, 둘째 줄에는 그 Hamming Distance의 합을 출력하시오. 그러한 DNA가 여러 개 있을 때에는 사전순으로 가장 앞서는 것을 출력한다.

예제입력

5 8
TATGATAC
TAAGCTAC
AAAGATCC
TGAGATAC
TAAGATGT

예제출력

TAAGATAC
7

Note

처음에는 주어진 각 DNA를 비교해서 자신을 제외한 다른 DNA와 비교했을때 humming distance의 합이 가장 작은 DNA를 선택하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뒤늦게 문제의 의미를 알아채고 다시 생각을 해보았다.

  • 2차원 array를 만든다.
  • 각 열을 돌아가면서 어느 뉴클레오타이드가 가장 많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 어떻게?
  • 만약 갯수가 중복된다면 사전순으로 결정한다.
  • 끝 열까지 다 돌고 만들어진 DNA로 각 행을 돌면서 humming distance를 확인한다.

참고한 풀이

N,M = map(int,input().split())
dna = []
result =''
hd = 0
for i in range(N):
    dna.append(input())

for i in range(M):
    cnt = [0,0,0,0]
    for j in range(N):
        if dna[j][i] == 'A':
            cnt[0] +=1
        elif dna[j][i] =='C':
            cnt[1] +=1
        elif dna[j][i] == 'G':
            cnt[2] +=1
        elif dna[j][i] == 'T':
            cnt[3] +=1

    Max = max(cnt)
    idx = cnt.index(Max)
    if idx ==0:
        result+='A'
    elif idx==1:
        result+='C'
    elif idx==2:
        result+='G'
    elif idx==3:
        result+='T'
    hd += N - Max

print(result)
print(hd)
  • 굳이 2차원 array를 선언하지 않아도 2차원처럼 인덱싱이 가능하다.
  • 가장 나오는 빈도가 높은 뉴클레오타이드를 어떻게 찾아야할지에서 막혔었는데 count list를 만들고 2차원 array에서 하는 것 처럼 열을 돌면서 카운트를 하면 된다.
  • max()로 최대값을 찾기
  • .index(Max)로 최대값이 나온 index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값이 중복으로 있을 때에는 맨 처음 나온 index를 찾기 때문에 사전순이 되는 셈이다.
  • Humming distance는 한 열을 돌면서 뉴클레오타이드가 확정될 때마다 N-Max 증가하게 된다.
profile
지금 있는 곳에서, 내가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는 일을 하기 🐢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