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프로그래밍
#소스코드
#파이썬
☑️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성하는 요소 이해하기
☑️ 파이썬의 실습 환경 구축, 실행 방법 알아보기
☑️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기본 용어 알아보기
☑️ 파이썬의 기본 출력 방법 print()함수 알아보기
1) 깨끗이 닦은 전기 포트에 적당량의 물을 부어 전원을 킨다.
2) 물이 끓기를 기다리며 커피 잔에 커피 믹스를 담는다.
3) 물이 끓으면 커피 믹스를 담은 커피 잔에 적당량의 물을 붓는다.
4) 티스푼으로 커피 믹스가 녹을 때 까지 젓는다.
5) 완성된 커피를 즐긴다.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
프로그램 - 미리 작성된 진행 계획
컴퓨터 프로그램 - 컴퓨터가 무엇을 해야 할지 미리 작성한 진행 계획
프로그래밍 언어 - 프로그램을 만들려는 목적으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이용해 만들어진 언어
소스 코드 - 프로그래밍 언어로 사람이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코드
이진 코드 - 컴퓨터가 이해하는 이진 숫자로 이루어진 코드
1) 문법이 간단해서 배우기 쉽다.(O)
2) 웹 서버, 해킹 도구, loT,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O)
3) 윈도우, 맥,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마다 사용 방법이 다르다.(X)
4)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대신 느리다.(O)
#텍스트에디터
#파이썬인터프리터
#인터렉티브
#python명령어
악기를 배우고 그림을 배울 때 필요한 도구가 있는 것처럼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위해서도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이 환경을 일반적으로 개발 환경이라고 부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 컴퓨터고 그 다음 필요한 것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루어진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텍스트 에디터와 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코드 실행기입니다. 파이썬은 파이썬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에디터와 파이썬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도구인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필요합니다.
>>> print("Hello Python")
Hello Python
>>> print("Hello! " * 3)
>>> print("혼자 공부하다 모르면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세요!")
Hello! Hello! Hello!
혼자 공부하다 모르면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세요!
#표현식
#키워드
#식별자
#주석
#print()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하다 보면 낯선 용어들이 많이 나옵니다. 용어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에 따라 앞으로 공부할 내용을 습득하는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표현식 : 값을 만들어 내는 코드
- 문장 : 표현식이 하나 이상 모인 것
- 프로그램 : 문장이 모인 것
표현식 : 어떠한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 (숫자, 수식, 문자열 등)
예) 273, 10 + 20 + 30, "Python Programming"
문장 : 표현식이 하나 이상 모였을 때의 한 줄이 하나의 문장
but) +, - 와 같이 아무것도 없이 기호가 있을 때는 표현식이 아님
프로그램 : 문장이 모여서 프로그램이 됨 즉, 표현식이 모여 문장, 문장이 모여 프로그램이 됨
키워드는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단어로 파이썬이 만들어질 때 이미 사용하겠다고 예약해 놓는 것. 파이썬은 다음과 같은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키워드 | |||||
---|---|---|---|---|---|
False | None | True | and | as | assert |
break | class | continue | def | del | elif |
else | except | finally | for | from | global |
if | import | in | is | lambda | nonlocal |
not | or | pass | raise | return | try |
while | with | yield |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True는 키워드지만, true는 키워드가 아닙니다.
사용하는 단어가 키워드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 아래 코드로 확인하자
>>> import keyword
>>> print(keyword.kwlist)
식별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주로 변수 또는 함수 이름 등으로 사용됩니다.
식별자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 만들어야 합니다.
사용 가능한 단어 : alpha, alpha10, _alpha, AlpHa, ALPHA
사용 불가능한 단어 : break(키워드라서 사용 불가), 273alpha(숫자> 로 시작해서 사용 불가), has sapce(공백이 포함되어 사용 불가)
식별자에는 공백을 사용 할 수 없음. 식별자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두가지 방법
원래 캐멀 케이스는 '첫 번째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와 '첫 번째 글자를 소문자로 적는다'로 구분합니다.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첫 번째 글자를 소문자로 적는다'라는 캐멀 케이스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파이썬에서는 첫 번째 글자가 소문자라면 무조건 스네이크 케이스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 식별자는 모두 스네이크 케이스로 적힌 단어입니다.
print, input, list, str, map, filter
반대로 첫 번째 글자가 대문자라면 무조건 캐멀 케이스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식별자는 모두 캐멀케이스로 적힌 단어입니다.
Animal, Customer
식별자는 굉장히 많은 곳에 사용됩니다. 간단하게 식별자를 구분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식별자
캐멀케이스(대문자) : 클래스
스네이크 케이스(소문자) : 함수 (뒤에 괄호가 있음), 변수 (뒤에 괄호가 없음)
캐멀 케이스로 작성되어 있으면 클래스이며, 스네이크 케이스로 작성되어 있으면 함수 또는 변수입니다. 그리고 뒤에 괄호가 붙어 있으면 함수이고, 괄호가 없으면 변수입니다.
다음 코드에서 굵게 표시된 식별자가 클래스인지, 함수인지, 변수인지 구분하시오.
1. print() -> 함수
2. list() -> 함수
3. soup.select() -> 함수
4. math.pi -> 변수
5. math.e -> 변수
6. class Animal: -> 클래스
7. BeautifulSoup() -> 클래스
7번은 캐멀 케이스이므로 일단 클래스입니다. 근데 뒤에 괄호가 있습니다. 이는 클래스 생성자라고 부르는 특이한 형태의 함수입니다.
주석은 프로그램 진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코드로,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파이선은 다음과 같이 주석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부분 앞에 # 기호를 붙여 주석 처리합니다. # 이후의 글자는 주석 처리되어 프로그램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습니다.
>>> #간단히 출력하는 예입니다.
>>> print("Hello! Python Programming...")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Hello! Python Programming...
연산자는 스스로 값이 되는 것이 아니고 값과 값 사이에 무언가 기능을 적용할 때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
, -
와 같이 단독으로 쓰일 때는 아무 의미를 갖지 못하지만, 아래와 같이 양쪽에 숫자가 있을 때는 +
는 더하기, -
는 빼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 1+1
2
>>> 10-10
0
자료를 리터럴이라고도 하는데, 이 책에서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라는 단어로 설명함. 자료란 아래 예시처럼 그게 숫자이든지 문자이든지 어떠한 '값' 자체를 의미합니다.
1
10
"Hello"
현재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있도록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썬의 가장 기본적인 출력 방법은 print() 함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print() 함수는 다음과 같이 함수의 괄호 안에 출력하고 싶은 것을 나열해서 사용합니다.
print(출력1, 출력2, ...)
print 명령어 뒤의 괄호 안에 출력하고 싶은 내용을 적는데, 하나만 입력하고 출력해 보겠습니다.
>>> print("Hello Python Programming...!")
Hello Python Programming...!
>>> print(52)
52
>>> print(273)
273
print 명령어 뒤에 괄호 안에 출력하고 싶은 내용을 쉼표로 연결해서 여러 개 적어도 됩니다. 여기서는 숫자와 문자열의 혼합, 그리고 네 개의 문자열을 출력하는 예제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 print(52, 273, "Hello")
52 273 Hello
>>> print("안녕하세요", "저의", "이름은", "라쏘입니다!")
안녕하세요 저의 이름은 라쏘입니다!
print 명령의 괄호 안에 아무것도 임력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런 경우에는 정말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단순하게 줄바꿈을 합니다. 대화형 셀에 print()를 입력하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빈 한 줄을 만든 후 프롬프트를 표시합니다.
>>> print()
-> 빈 줄을 출력합니다
>>>
소스코드 output.py
#하나만 출력합니다.
print("#하나만 출력합니다.")
print("Hello Python Programming...!")
print()
#여러 개를 출력합니다.
print("#여러 개를 출력합니다.")
print(10, 20, 30, 40, 50)
print("안녕하세요", "저의", "이름은", "라쏘입니다.")
print()
#아무것도 임력하지 않으면 단순하게 줄바꿈합니다.
print("#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print("--확인 전용선--")
print()
print()
print("--확인 전용선--")
#하나만 출력합니다.
Hello Python Programming...!
#여러 개를 출력합니다.
10 20 30 40 50
안녕하세요 저의 이름은 라쏘입니다.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확인 전용선--
--확인 전용선--
>>> print("Hello Python")
Hello Python
1) a (O)
2) hello (O)
3) $hello (X) 특수문자는 _만 인정함
4) 10_hello (X) 숫자로 시작하면 안됨
5) bye (O)
1) 키워드 (입력을 했을 때 색이 변해야 함)
2) 식별자 (print 함수 O)
3) 연산자 (+, -)
4) 자료 (10, 20 , 안녕)
-> 스네이크 케이스 소문자로 작성 됨
예시 | 스네이크 케이스 | 캐멀 케이스 |
---|---|---|
hello coding | hello_coding | HelloCoding |
hello python | hello_python | HelloPython |
we are the world | we_are_the_world | WeAreTheWorld |
create output | create_output | CreateOutput |
create request | creat_request | CreateRequest |
init server | init_server | InitServer |
init matrix | init_matrix | InitMatirx |
윤성인,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한빛미디어(2019), p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