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스프링의 정석 강의를 듣다가 쿠키와 세션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해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쿠키와 세션
HTTP프로토콜은 기억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매번 확인해야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
- 쿠키
1. 브라우저에 key,value 형태로 저장한다.
- 쿠키는 유효시간이 있으며 쿠키를 삭제하려한다면 시간을 0으로 세팅하면 된다. (setMaxAge(0))
-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
-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합니다.
2.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합니다.
3.물론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이 가능 합니다.
4.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5.즉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됩니다.
6.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 데 이것이 세션 ID입니다.
출처 및 참고
https://interconnection.tistory.com/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