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 파일이며, 통신할 때 HTTP 헤더에 포함되는 텍스트 데이터 파일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누구나 쿠키에 입력된 값을 쉽게 확인 가능
쿠키는 변수(이름 : 값)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한 파일
정보의 유효기간을 지정할 수 있다.
-> 유효기간 미지정 시 메모리에 기록되어 웹 브라우저 종료 시 소멸되고, 지정 시 하드디스크에 저장 됨
쿠키 값은 UTF-8로 인코딩 / 디코딩 해서 사용한다.
로그인 정보 같이 유저가 굳이 다시 서버에 다시 요청하기에는 비효율적인 정보를 로컬에 저장해둠으로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사용 예시 : 자동 로그인 , 오늘 그만보기 팝업창 등
: 세션 ID, 세션 생성 시간, 세션의 최근 접근 시간
👉 웹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생성
👉 세션을 만들면서 별도로 웹 브라우저에 세션 ID 값이 담긴 쿠키를 만들어 저장한다. 그리고 웹 서버에 요청할 때 이 쿠키도 같이 보내서 웹 서버가 세션 ID를 비교하여 세션 값을 꺼내 읽어올 수 있게 된다.
1)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한다.
2)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로 발급해준 세션 ID를 쿠키를 이용해서 저장
3) 클라이언트는 다시 페이지에 접속할 때, 쿠키에 저장된 세션 ID를 서버에 전달
4) 서버는 Request Header에 쿠키 정보(세션 ID)로 클라이언트를 판별
✔ 캐시 히트 (Cache Hit)
- CPU가 참조하려는 메모리가 캐시에 존재하고 있는경우✔ 캐시 미스 (Cache Miss)
- 캐시 히트와 반대로, 메모리에 캐시가 존재하지 않는경우
📝 Reference
1. https://maivve.tistory.com/180
2. https://ryusae.tistory.com/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