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IoC(Inversion of Control)

DONG HEON·2021년 10월 20일
0

Spring

목록 보기
2/7

Spring IoC

Spring IoC 컨테이너

  • 가장 중요한 인터페이스는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이다.
  •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의 중앙 저장소이다.
  • Bean 설정 소스로 부터 Bean 정의를 읽어들이고, Bean을 구성하고 제공한다.
  • Bean들의 의존 관계를 설정해준다.(객체의 생성을 책임지고, 의존성을 관리한다.)

POJO

Plain Old Java Object, 오래된 방식의 자바 객체라는 뜻으로 평범한 클래스이다. 종속되지 않는다는 것은 코드를 간결히할 수 있고, 객체지향 설계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거에 자바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사용했다.
이 Servlet 클래스는 POJO가 아닌 것이다. 즉 Servlet 클래스를 작성하지 않고 POJO만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게 Spring의 특징이다.

IoC 사용 목적

클래스 호출 방식

클래스 내에 선언과 구현이 같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변화가 불가능하다.

인터페이스 호출 방식

클래스를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 구현하는 클래스로 분리해다. 구현클래스 교체가 용이하며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구현클래스 교체 시 호출 클래스의 코드에서 수정이 필요하다.(부분적으로 종속)

팩토리 호출 방식

팩토리 방식은 팩토리가 구현클래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호출클래스는 팩토리를 호출하는 코드로 충분하다. 구현클래스 변경시 팩토리만 수정하면 되기 때문에 호출클래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호출클래스에서 팩토리를 호출하는 코드가 들어가야 하는 것 또한 팩토리에 의존함을 의미한다.

IoC

팩토리 패턴의 장점을 더해 어떠한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 형태가 되었다. 실행시점에 클래스 간의 관계가 형성이 된다. 즉, 의존성이 삽입된다는 의미로 IoC를 DI라는 표현으로 사용한다.

스프링 컨테이너 종류

BeanFactory

스프링 빈 컨테이너에 접근하기 위한 최상위 인터페이스이다.

Bean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디자인 패턴의 일종인 팩토리 패턴을 구현한 것이다. BeanFactory 컨테이너는 구동될 때 Bean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객체를 생성한다.

ApplicationContext

ListableBeanFactory(BeanFactory에 하위 인터페이스이며, Bean을 Listable하게 보관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DefaultListableBeanFactory 클래스)를 상속하고 있으며, 여러 기능(ResourceLoader, ApplicationEventPublisher, MessageSource, Bean Lifecycle)을 추가로 제공한다.

BeanFactory를 상속받은 interface이며, ApplicationContext 컨테이너는 구동되는 시점에 등록된 Bean 객체들을 스캔하여 객체화한다.

Container 정리

컨테이너의 사전적 의미는 무언가를 담는 용기, 그릇이다. 스프링의 컨테이너는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의 처리 과정을 위임받아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존재이다. 지금까지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서 위의 그림과 같이 new 생성자를 이용하거나 getter / setter 기능을 써야만 했다.

어플리케이션에는 이러한 객체가 무수히 많이 존재하고 서로 참조하고 있다. 서로 참조하고 있는 정도가 심할 수록 의존성이 높다고 표현한다. 낮은 결합도와 높은 캡슐화로 대변되는 OOP에서 높은 의존성은 매우 지양된다.

의존성 주입을 사용하는 이유

  •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 테스트에 용이하다.
  • 코드를 단순화 시켜준다.
  • 사용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수월하고 코드가 읽기 쉬워지는 점이 있다.
  • 종속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변경에 민감하지 않다.
  • 결합도는 낮추면서 유연성과 확장성은 향상시킬 수 있다.
  • 객체간의 의존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Bean이란

  • 스프링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

빈으로 등록됐을 때의 장점

  • 스프링 IoC 컨테이너에 등록된 Bean들은 의존성 관리가 수월해진다.
  • 스프링 IoC 컨테이너에 등록된 Bean들은 싱글톤의 형태이다.

Spring-Boot는 어노테이션을 통해 Bean을 설정하고 주입

Container에 Spring Bean으로 등록시켜주는 Annotation
ex) @Bean, @Component,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 @Bean은 개발자가 컨트롤 할 수 없는 외부 라이브러리 Bean으로 등록하고 싶은 경우(메소드로 return 되는 객체를 Bean으로 등록)

  • @Component는 개발자가 직접 컨트롤 할 수 있는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하고 싶은 경우

  •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은 @Component를 비즈니스 레이어에 따라 명칭을 달리 지정해준 것이다.

    Container에 있는 Spring Bean을 찾아 주입시켜주는 Annotation

  • @Autowired : IoC 컨테이너에 있는 참조할 Bean을 찾아 주입한다.

profile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