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선언"과 "할당"의 두 영역으로 구분된다.
변수의 선언
-> 선언은 데이터 형과 사용하고자 하는 변수의 이름을 지정한 후, 세미콜론(;)으로 한 라인을 종료한다.
데이터형 변수이름;
변수의 할당
-> 선언된 변수에 원하는 값을 대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값의 대입은 대입연산자(=)를 사용하며, 우변에서 좌변으로 대입된다.
변수이름 = 값;
사용 예
int num1; // 변수의 선언
num1 = 100; // 변수의 할당
변수의 할당의 통합(선언과 할당은 다음과 같이 한 줄로 표현될 수 있다)
데이터형 변수이름 = 값;
int num1 = 100;
String 형의 변수를 선언하고, 쌍 따옴표로 묶인 값을 대입한다.
빈 문자열이나 공백도 문자열 데이터이다
String msg = "안녕하세요. 자바"; -> 문장을 표현(공백 포함)
String blank = ""; -> 빈 문자열 값
String age = "20"; -> 숫자값이 쌍따옴표로 묶였다면 문자열이다.
int age2 = 20;
문자열 데이터의 덧샘
-> 문자열 + 문자열 => 두 문장을 하나로 합쳐준다
String language = "JA" + "VA"; // "JAVA"
문자열 + 기본자료형
-> 기본 자료형의 데이터가 문자열로 변환되고, 두 문장이 합쳐진다.
int age = 10;
String name = "자바학생";
String result = age + name; // 10 + "자바학생" -> "10자바학생"
boolean 은 true(참), false(거짓) 중의 한 가지만 갖는다.
boolean isKorean = true;
char는 홑따옴표(')로 감싸진 한 글자만 대입할 수 있다.
char first = '곽';
long, float, double은 다른 데이터 형과의 구별을 위해
값 뒤에 데이터형의 첫 글자를 접미사로 가질 수 있다.
접미사는 대/소문자를 자리지 않지만, 가급적 대문자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long money = 5000000000L;
float PI = 3.14F;
double lat = 128.32452D;
생성된 변수는 다른 변수에 대입될 수 있다
int num1 = 100;
int num2 = num1;
반복하여 다른 값이 할당될 수 있지만, 선언은 중복 불가
int num1 = 100;
num1 = 200;
int num1 = 300; // 이미 선언된 변수이므로 에러
선언되지 않은 변수는 사용할 수 없다
int num1 = 100;
num1 = 200;
num2 = 300; // 선언되지 않은 변수이므로 에러
값이 대입되지 않은 변수는 다른 변수에 대입하거나 출력할 수 없다.
int num1;
// 할당되지 않은 변수를 대입하였으므로 에러
int num2 = num1;
// 할당되지 않은 변수를 출력하였으므로 에러
System.out.println(num1);
상수 = 변수지 않는 수
변수와 마찬가지로 메모리상에 존재하지만, 값이 변경될
수 없는 데이터
final 키워드가 사용하여 선언된 변수는 상수로 생성된다
final int age = 20;
final long money = 12000L;
final float PI = 3.14F;
메모리상에 이름이 생성되므로 접근은 가능하지만,
할당된 값을 변경할 수는 없다.(읽기전용)
final int age = 20;
age = 21; // 에러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