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_16_반복함수와 재귀함수

charl hi·2021년 8월 8일
0

JAVA

목록 보기
16/53
  • 재귀함수는 작은 경우를 타고 올라와서...

재귀함수를 이용한 팩토리얼 함수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factorial(int number) {
		
		if (number == 1)
		{
			return 1;
		}
		else
		{
			return number * factorial(number - 1);  // 5! = 5 * 4! 이용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put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수를 입력하세요.");
		int N = input.nextInt();
		
		System.out.println("위 수의 팩토리얼의 값 : " + factorial(N));
		input.close();
	}

}


피보나치 수열


반복함수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 반복함수를 사용한 피보나치 수열
	public static int fibo(int k) {
		int a1 = 1;
		int a2 = 1;
		int result = -1;   // 아예 첨부터 -1로 잡으면 좋다.
		
		if (k == 1 || k == 2)
		{
			return 1;
		}
		else 
		{
			for(int i = 2; i < k; i++)   // 자리가 한칸씩 이동**
			{
				result = a1 + a2;
				a1 = a2;
				a2 = result;
			}
		}
		
		return resul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put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몇 번째 피보나치 수열?");
		int N = input.nextInt();
		
		if (N == -1)
		{
			System.out.println("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else 
		{
			System.out.println("다음과 같다 : " + fibo(N));
		}
		
		input.close();

	}

}

재귀함수

  • 어렵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fibo(int k) {
		if (k == 1 || k == 2)
		{
			return 1;
		}
		else
		{
			return fibo(k - 1) + fibo(k - 2);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input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몇 번째 피보나치 수열?");
		int N = input.nextInt();
		
		if (N == -1)
		{
			System.out.println("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else 
		{
			System.out.println("다음과 같다 : " + fibo(N));
		}
		
		input.close();
	}

}


👀👀 너무 복잡해지는 단점!! 너무 비효율적이고 오래 걸린다.

->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 동적 프로그램이 필요해진다고 함



Ref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