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노드로부터 모든 노드까지의 최단 거리가 필요할 때, 다익스트라를 N번 돌리는 것과 플로이드-워셜을 1번 돌리는 것의 비교
-> 다익스트라는 안 되고 플로이드-워셜은 가능
음수 가중치가 없을 때
2-1) 희소 그래프일 때 (간선 개수가 N에 가까울 때)
-> 다익스트라를 N번 돌리는게 이득 (성능 이득)
2-2) 밀집 그래프일 때 (간선 개수가 N^2에 가까울 때)
-> 플로이드-워셜이 유리 (성능 차이 별로 없는데 플로이드-워셜이 더 직관적이고 구현이 간단하므로)
2-3) 그래프 크기 자체가 많이 작을 때
-> 플로이드-워셜이 유리 (직관적이고 구현이 간단하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