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페이지의 공간에 여러 구성 요소를 보기 좋게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작업.
태그를 어떻게 위치시킬지를 정의한다.
기본값, 다른 태그와의 관계에 의해 자동으로 배치되며 위치를 임의로 설정해 줄 수 없다.
원래 있던 위치를 기준으로 좌표를 지정한다.
절대 좌표와 함께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다.
스크롤과 상관없이 화면에 요소를 고정시킨다.
포지션 고정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absolute는 position 속성을 지닌 부모를 기준으로 하고 fixed는 브라우저 화면을 기준으로 한다.

요소를 어떻게 보여줄지를 결정한다.
width와 height를 지정 할 수 없다.span 태그, b 태그, a 태그 등이 있다.block 요소 다음에 등장하는 태그는 줄바꿈이 된 것처럼 보인다.width, height 속성을 지정 할 수 있다.div 태그, p 태그, h 태그, li 태그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block과 inline의 중간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줄 바꿈이 되지 않지만 크기를 지정 할 수 있다.inline처럼 줄 바꿈을 하지 않고 다른 요소와 함께 한 행에 위치할 수 있다.block처럼 width, height 등 프로퍼티를 적용할 수 있다.

정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속성이다.
float 속성 값에는 left, right, none이 있다.float을 사용한 요소는 문서의 흐름상에서 벗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레이아웃을 무너뜨리게 되는 현상을 겪을 수 있다. float를 해제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clear 속성 값에는 left, right, both, none이 있다
left : 왼쪽에 floating 된 요소를 지정 해제
right : 오른쪽에 floating 된 요소를 지정 해제
both : 왼쪽 오른쪽 모두 floating 된 요소를 지정 해제
none : 기본값(default), floating 을 해제하지 않음
clear를 사용하면 다음 요소는 float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내용이 요소의 크기를 벗어났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를 정하는 속성이다.
종류
visible : 박스를 넘어가도 보여준다
hidden : 박스를 넘어간 부분은 보이지 않는다.
scroll : 박스를 넘어가든 넘어가지 않든 스크롤바가 나온다다.
auto : 박스를 넘어가지 않으면 스크롤바가 나오지 않고, 박스를 넘어갈 때에는 스크롤바가 나온다.
initial :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inherit : 부모 요소의 속성값을 상속받는다.
여기서 overflow : hidden을 float 태그의 부모 태그에 적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