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들으면서 새로 알게된 내용을 정리해보자!
HTML <pre>
태크
html 안에서는 띄어쓰기를 해도 적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pre>
태크 내의 텍스트는 고정폭 글꼴을 사용하며 표현되며, 사용된 띄어쓰기와 줄바꿈이 모두 그대로 브라우저 화면에 적용된다.
list 태그들
<ol>
순서가 있는 list를 만들때 사용, 태그 안의 type = ""
속성을 활용하여 리스트 순서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ul>
순서가 없는 list를 만들때 사용, 기본은 원으로 list가 표시되지만 type='square'
를 쓰면 정사각형 list도 가능
<dl>
들여쓰기가 가능한 태그, 설명할 때 유용하다.
<ol type="1">
<li>하나</li>
</ol>
<ol type="A">
<li>둘</li>
</ol>
<ul>
<li>셋</li>
</ul>
<ul type="square">
<li>넷</li>
</ul>
<dl>
<dt>Chelsea</dt>
<dd>Pride of London</dd>
</dl>
<blockquote>
를 사용하면 들여쓰기로 인용 효과 가능<q>
태그 안에 인용글 넣으면 따옴표로 표시css 는 인라인 스타일, 내부 스타일, 외부 스타일 세 가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내부 스타일은 html 파일 안에 <style>
태그 활용, 외부 스타일은 파일 외부에 확장자 .css 파일을 만들어 쓰는 내가 계속 쓰던 방식이다. 인라인 스타일은 이번에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는데, html 요소 내부에 <style>
속성을 사용하는 것이다. 내부와 차이점은 내부는 <head>
안쪽에 인라인은 <body>
안쪽에 사용한다.
true
가 되었을 때, 해당 피연산자의 집합은 true
가 된다. 만약 하나만 true
이면 false
값이 나온다. 여기까지는 알고 있던 내용이지만 이번에 새로 알게 된 것은 0
은 false
라는 사실 그리고 문자열은 true
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console.log('A' && '') // 모두가 ture 이기에 빈 문자열이 나온다
console.log(1 && 0) // 1은 true 0은 false 이므로 0 이 나온다
nullish
병합 연산자는 ??
를 사용하면 짧은 문법으로 여러 피연산자 중 그 값이 확정되어있는 변수를 찾을 수 있다.a ?? b
는 a
가 null
도 아니고 undefined
도 아니면 a
, 그 외의 경우는 b
이다.?? 와 || 의 차이를 비교해보자
||
는 첫 번째 true 값을 반환한다??
는 첫 번째 정의된 값을 반환한다이 차이를 통해 숫자 0
을 구분 지을 수 있다. 또한, null
과 undefined
를 구분 지을 수 있다.
let height = 0
console.log(height || 100) // 100
console.log(height ?? 100) // 0
이 부분은 기억은 잘 안나지만 했던 것 같다....
말은 어렵지만 해석해보면 굉장히 쉬운 내용이다. 없는 정보를 가져올때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
앞의 평가 대상이undefined
이나 null
이면 평가를 멈추고 undefined
를 반환한다
let user = {name : 'John', age : 24, address :}
// 주소가 없는 user 정보
console.log(user.address) //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street' of undefined
console.log(user && user.address) // undefined
console.log(user?.address) // 선택적 체이닝, undefined
글이 잘 정리되어 있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