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er : 스프링이 제공하는 특정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된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해결한다.
AutoConfiguration : 스타터를 통해 추가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된 빈 설정을 자동으로 처리(빈 초기화)
Actuator : 스프링 부트로 개발된 시스템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
라이브러리들이 추가되면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프링 설정 파일에 빈 등록도 해야하고 의존성 주입도 적절히 처리해야 한다.
스프링 부트는 이런 복잡한 설정도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1.Auto Configuration(자동 설정)
데이터베이스 관련 모듈 추가하면 자동으로 관련 설정 찾아서 실행
2.내장 톰캣, 단독 실행 도구
3. jar파일 배포 가능(기존 spring에서는 war)
4. spring 개념은 유지
5. 주로 Thymeleaf라는 템플릿 엔진 활용
6. 화면을 구성하지 않고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API서버라는 형태가능
7. JPA방식 사용가능
스프링 부트에서느 servlet-context나 web.xml에서 의존성 관리를 해주지 않고 하나의 클래스에서 의존성 관리를 해준다.
@SpringBootApplication 애너테이션이 붙은 곳이 시작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