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 로컬, 깃허브 이메일 주소가 일치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이다.
포트 포워딩 문제 > 내 프로그램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아래 포트포워딩은 실패했었다. nohup > 따라서 nohup을 적용시킨 상태에서 8080 포트 열려있는지 확인 ,80번 포트 안열려있으면 다시한번 프로그램 실행 시킨 상태로 포트포워딩 코드 실행 결국 문제는 명령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재부팅 후 잘 돌아감
setting -> build tools -> gradle -> 빌드와 실행을 gradle에서 intelij로 바꾼다.gradle일 때는 정상적으로 실행되지만 intelij툴에서 실행시간을 계속보여주는 오류로 보인다. 따라서 intelij로 변경
위처럼 github와 local 끼리 history가 다르다고 pull이 안되었다.폴더의 터미널 열어서 아래 코드 입력하나의 레퍼지토리 안에 여러개의 원격저장소가 있고 각 원격저장소마다 브랜치가 있다.원격저장소도 브랜치로 나눠져있는데 이 원격저장소는 협업을 위한 브랜치
org.springframework.jdbc.UncategorizedSQLException: Error setting null for parameter 위에서 나온 sql 1111 에러는 Oracle Driver에서 연동할때 JdbcType.OTHER을 사용하면 nu
이 부분 syntax 로 변경하면 에러 해결 가능
mariaDB 에러코드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10061) \--> 서비스에서 mariaDB 실행시켜주면 된다.
server에 들어가서 여기서 path부분이 잘못되어있지 않은지 확인해준다.http://localhost:8090/attiWell/main/main.do path는 위 url에서 attiWell 경로를 의미한다.
평소 프로젝트를 다른 환경에서 설정시 위와같이 포트가 이미 실행되고 있다는 에러를 자주 접하곤 합니다.그렇다면❕ 에러에 나온대로 8005포트 실행취소만 시켜주면 해결 되겠죠?바로 실행창 켜서 포트 실행 상태를 봐줍니다.netstat -ano는 총 네트워크 정보를 보여주
웹 개발을 하다보면 포트 충돌나는 경우가 많다.이 때 프로그램에서 특정 포트를 종료시켜도 충돌이 일어날 경우 강제 종료를 해줘야 한다.
1. requestpart에 key값 적어준다. 2. key값과 content-type을 각각 맞춰준다.
원래 17로 잡히던 app인데 지우고 다시 clone시 java버전이 안맞는 문제가 일어남예전 sts에서 사용하던 11버전의 java가 path 상단에 올라가 있는걸 확인 -> app에서 java 17버전으로 조정해보자file - setting - build - gra
내 경우에는 hyper v 설정과 bios에서 virtual machine 설정에 disabled로 되어있어 도커가 wsl 에러가 나는 경우였다. Windows에서 여러 운영 체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docker 설치하면서 window default설정
레퍼지토리 https 주소 가져온다. 로컬에 파일을 만들어주고 터미널로 그 파일위치로 들어간다. git clone 명령어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