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내배캠 스탠다드 이론에서 배운 Spring MVC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MVC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MVC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구조 관점에서 접근한 개념MVC 패턴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
Spring MVC에 이어서 3 - Layer Architecture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둘은 처음에 공부할 땐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있다!!역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의 형식이나 간단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입력 필드가 빈 값인지, 숫자 필드
Entity 객체를 효율적으로 쉽게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영속성 컨텍스트의 기능1차 캐시쓰기 지연 저장소(ActionQueue)변경 감지(Dirty Checking)영속성 컨텍스트는 내부적으로 캐시 저장소를 가지고 있다.우리가 저장하는 Entity 객체들이 1차
Bean을 공부하기전에 나오는 얘기가 있었다. 바로 IoC와 DI이다. 그런데 대체 저게 뭐지...?😐스프링을 공부하다 보면 저 개념이 계속 나와서 한번 정리하고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해 정리해 보았다!!객체지향의 SOLID 원칙 그리고 GoF 의 디자인 패턴과 같은
데이터의 생성(created_at), 수정(modified_at) 시간은 포스팅, 게시글, 댓글 등 다양한 데이터에 매우 자주 활용됩니다. 각각의 Entity의 생성 수정 시간을 매번 작성하는건 너무 비효율적!!Spring Data JPA에서는 시간에 대해서 자동으로
단위테스트하나의 모듈이나 클래스에 대해 세밀한 부분까지 테스트가 가능하다.하지만, 모듈간의 상호작용 검증은 할 수 없다.단위 테스트 시 Spring은 동작되지 않는다.통합 테스트두 개 이상의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테스트 할 수 있다.모듈 간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에러 검
관점지향 프로그래밍은 복잡한 프로그래밍 세상에서 관심사를 분리하여 모듈로 사용하는데 목적이 있다.AOP : 핵심기능과 횡단 관심사(부가 기능)를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핵심기능 : 시스템의 주요 목적, 메서드의 주요 기능부가기능 : 주요 목적이 아닌 부가기능횡단 관심사 :
JDBC란?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는 Java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업데이트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Java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이다.JDBC는 Java 애플리케이션에서 데
인증인증은 말 그대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으로, 특정 인증 요청(로그인, 이메일 인증 등)이 유효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하는 과정이다.만약 인증 과정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마음대로 상품 정보를 수정하고 주문하는 등 악의적인 행동을 할 수 있을
현재 Parent와 Child는 1:N 양방향 연관관계로 맺어진 상황이다. 여기서 3가지 인스턴스를 모두 영속화 시키기 위해서는 em.persist를 3번 호출해서 영속화해야한다.JPA에서는 이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영속성 전이(CASCADE)의 PERS
QueryDSL을 알아보기 전에 Spring Data JPA대해서 먼저 알아보자!!JPA는 Java 오프젝트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매핑하는 Java 표준이다.JPA는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를 위해
JWT를 Security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User Entity에 아래와 같은 오류가 생겼다.원인은 User 클래스의 생성자가 AuthUser의 authorities 필드 타입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래 사진과 같이 authUser.getAuthor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