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이름 = 값
의 형태로a = 3 # 3을 a에 넣는다.
print(a)
b = a # a에 들어 있는 값인 3을 b에 넣는다.
print(b)
a = 5 # a에 5라는 새로운 값을 넣는다.
print(a, b) # 5 3
a = 7
b = 2
a+b # 9
a-b # 5
a*b # 14
a/b # 3.5
a+3*b # 13 (여러 연산을 한 줄에 할 경우 사칙연산의 순서대로!)
(a+3)*b # 20 (소괄호를 이용해서 먼저 계산할 부분을 표시해줄 수 있음)
a = 5
a = a + 3 # 5에 3을 더한 값을 다시 a에 저장
print(a) # 8
a += 3 # 줄여 쓸 수도 있다. 같은 의미!
a//b # 3 (몫)
a%b # 1 (나머지)
a**b # 49 (거듭제곱)
x = True # 참
y = False # 거짓
# 소문자로 쓰면 자료형으로 인식하지 않고 변수명이라 생각해 에러남!
z = true # name 'true' is not defined
True = 1 # True/False는 변수명으로 쓸 수 없어요!
🌸 Bool 타입은 '비교연산자'의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자주 쓰임!
a = 4 > 2 # True
not a # False NOT 연산자로 참을 거짓으로, 거짓을 참으로 바꿔준다.
a and b # False AND 연산자로 모두 참이어야 참을 반환한다.
a or b # True OR 연산자로 둘 중 하나만 참이면 참이다.
#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 둘 다 같아요!
a = "aa"
b = 'aa'
🍀 따옴표로 감싸지 않으면 변수이름을 뜻하기 때문에 꼭 구분해서 써야함!
a = 1
b = "a"
c = a
print(a, b, c) # 1 "a" 1
first_name = "Harry"
last_name = "Potter"
first_name + last_name # HarryPotter
first_name + " " + last_name # Harry Potter
a = "3"
b = "5"
a + b # 35
🫥 문자열 + 숫자형 이런건 안됨! (문자 + 문자, 숫자 + 숫자 possible)
print(len("abcde")) # 5
print(len("Hello, Sparta!")) # 14
print(len("안녕하세요.")) # 6
sentence = 'Python is FUN!'
sentence.upper() # PYTHON IS FUN!
sentence.lower() # python is fun!
# 이메일 주소에서 도메인 'gmail'만 추출하기
myemail = 'test@gmail.com'
result = myemail.split('@') # ['test','gmail.com'] (리스트 자료형)
result[0] # test (리스트의 첫번째 요소)
result[1] # gmail.com (리스트의 두 번째 요소
result2 = result[1].split('.') # ['gmail','com']
result2[0] # gmail -> 우리가 알고 싶었던 것
result2[1] # com
# 한 줄로 한 번에!
myemail.split('@')[1].split('.')[0]
txt = '서울시-마포구-망원동'
print(txt.replace('-', '>')) # '서울시>마포구>망원동'
f="abcdefghijklmnopqrstuvwxyz"
f[1] # b 파이썬은 숫자를 0부터 셈!
f[4:15] # efghijklmno f[4]부터 f[15] 전까지, 총 15-4=11개!
f[8:] # ijklmnopqrstuvwxyz f[8]부터 끝까지, 앞의 8개 빼고!
f[:7] # abcdefg 시작부터 f[7] 전까지, 앞의 7개!
f[:] # abcdefghijklmnopqrstuvwxyz 처음부터 끝까지
🌝 f[앞의 숫자] ~ f[뒷 숫자 -1] 까지!
비슷하게, range(1, N+1)도 1부터 N까지!
a = [1, 5, 2]
b = [3, "a", 6, 1]
c = []
d = list()
e = [1, 2, 4, [2, 3, 4]]
🌞 리스트도 동일하게, len(), 인덱싱, 슬라이싱 사용 가능!
인덱싱 할때 a[-1] 처럼 -1이 온다면 맨 마지막 것이라는 뜻
person = {"name":"Bob", "age": 21}
print(person["name"])
a = {"one":1, "two":2}
# 빈 딕셔너리 만들기
a = {}
a = dict()
❌ 딕셔너리의 요소에는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을 사용할 수 없음!! ❌
person = {"name":"Bob", "age": 21}
person["name"] = "Robert"
print(person) # {'name': 'Robert', 'age': 21}
person["height"] = 174.8
print(person) # {'name': 'Robert', 'age': 21, 'height': 174.8}
person = {"name":"Alice", "age": 16, "scores": {"math": 81, "science": 92, "Korean": 84}}
print(person["scores"]) # {'math': 81, 'science': 92, 'Korean': 84}
print(person["scores"]["science"]) # 92
people = [{'name': 'bob', 'age': 20}, {'name': 'carry', 'age': 38}]
# people[0]['name']의 값은? 'bob'
# people[1]['name']의 값은? 'carry'
person = {'name': 'john', 'age': 7}
people.append(person) # 추가하기!
# people의 값은? [{'name':'bob','age':20}, {'name':'carry','age':38}, {'name':'john','age':7}]
# people[2]['name']의 값은? 'jo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