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FFEL Python Master 핵심정리 #01 기본연산, 입력, 출력, 문자열

이재준·2021년 7월 8일
0

AIFFEL Python Master

목록 보기
1/5
post-thumbnail

Python Master 풀잎스쿨 시간에는 파이썬 코딩 도장을 이용해 파이썬에 대한 기초 지식을 공부하였고 그 중 핵심 부분에 대해서 요약하여 정리했다. 파이썬을 처음 공부하며 노트 필기 형식으로 정리해놨던 부분과 겹치는 부분이 많아 함께 정리했다.


파이썬 스크립트 실행

파이썬 코드를 저장하면 .py 파일 형식으로 저장되고 그것을 파이썬 스트립트라고 부른다.
콘솔(터미널, 명령 프롬프트) 에서 python 스트립트파일명.py 혁식으로 실행 가능하다.

리눅스와 MacOS 에서는 python3 스크립트파일명.py 형식으로 실행


주석

주석은 코드를 만들때 설명을 작성하거나 코드 임시로 사용하지 않도록 할 때 사용한다.
즉, 주석은 컴퓨터는 인식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 주석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자열 출력

print() 함수로 화면(표준 출력)에 값을 출력 할 수 있다.

print('Hello, world!')    # Hello, world!

기본 연산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이외도 여러 연산자를 쓸 수 있다.

제곱 : **
나눈 나머지 : % ( ex, 10%3 = 1 )
나눈 몫 : // ( ex, 10//3 = 3)


변수 생성, 삭제

새로운 변수를 만들 때는 변수이름 = 값 형식으로 만든다.

변수 여러 개를 한 번에 만들 때는 변수이름1, 변수이름2, 변수이름3 = 값1, 값2, 값3 의 형식으로 만든다.

변수를 삭제할 때는 del 변수이름 형식으로 삭제가능하다.


산술 연산 후 할당 연산자

산술 연산자 앞에 =(할당 연산자)를 붙이면 연산 결과를 변수에 저장한다. 이때, 변수는 미리 만들어져있고 값이 할당되어있어야한다.

a = 10
a += 20
print(a)

출력
30

입력 값을 변수에 저장

입력 값을 변수에 저장할 때는 input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때 input 함수의 입력값은 문자열로 저장되므로 정수나 실수로 값을 저장하고 싶을때는 int, float 을 이용해야한다.

a = input()    # 입력값을 문자열로 저장
b = int(input())    # 입력값을 정수로 저장
c = float(input())    # 입력값을 실수로 저장

⭐ 한 번에 여러 개 입력받기

input 함수에서 split() 을 사용하면 여러 값을 한번에 입력 받을 수 있다. split 함수에 넣은 문자를 기준으로 입력값을 나눈다.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공백(' ')을 기준으로 나눈다.
만약 split 의 결과를 정수 또는 실수로 변환하려면 map 함수를 사용해 int 또는 float 을 지정한다.

a, b = input().split    # 값 두 개를 받아 변수 두 개에 문자열로 저장
a, b = map(int, input().split())     # 값 두 개를 받아 변수 두 개에 정수로 저장
a, b = map(float, input().split())     # 값 두 개를 받아 변수 두 개에 실수로 저장

print 함수의 sep 에 문자열을 지정하면 값 사이에 지정한 문자열을 넣는다.

print 함수의 end 에 문자열을 지정하면 값 마지막에 지정한 문자열을 넣는다. 아무것도 넣지않으면 \n(줄바꿈) 이 기본 값으로 지정되어있다.

print(1,2,3, sep=',')   # 1,2,3
print(1, end=' ')
print(2)

출력
1,2,3
1 2

문자열

문자열은 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로 묶어서 표현한다. 여러 줄로 된 문자열은 작은따옴표 3개(''') 또는 큰따옴표 3개(""") 로 묶어서 표현한다.

⭐⭐ 문자열 메서드

문자열은 여러가지 함수로 처리가능하다. 그 중 자주 쓰이는 대표적인 예로 lower, upper, isupper, len, replace, index, find, count 등의 함수를 아래의 노트에 정리했다.

메서드설명
replace('바꿀문자열', '새문자열')문자열 안의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바꿈
translate(테이블)문자열 안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꿈, str.maketrans('바꿀문자', '새문자')로 변환 테이블을 만들어야 함
split()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하여 리스트로 만듦
split('기준문자열')기준 문자열을 지정하면 기준 문자열로 문자열을 분리
join(리스트)구분자 문자열과 문자열 리스트(튜플)의 요소를 연결하여 문자열로 만듦
upper(), lower()upper는 문자열의 문자를 대문자로 바꾸고, lower는 소문자로 바꿈
lstrip(), rstrip(), strip()lstrip은 문자열에서 왼쪽 공백을 삭제, rstrip은 오른쪽 공백을 삭제, strip은 양쪽 공백을 삭제, 삭제할 문자들을 지정하면 해당 문자들을 삭제
ljust(길이), rjust(길이), center(길이)문자열을 지정된 길이로 만든 뒤 왼쪽(ljust), 오른쪽(rjust), 가운데(center)로 정렬하며 남는 공간은 공백으로 채움
zfill()지정된 길이에 맞춰서 문자열의 왼쪽에 0을 채움
find('찾을문자열'), rfind('찾을문자열')find는 왼쪽에서부터, rfind는 오른쪽에서부터 특정 문자열을 찾아서 인덱스 반환, 문자열이 없으면 -1을 반환
index('찾을문자열'), rindex('찾을문자열')index는 왼쪽에서부터, rindex는 오른쪽에서부터 특정 문자열을 찾아서 인덱스를 반환, 문자열이 없으면 에러 발생
count('문자열')현재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열이 몇 번 나오는지 알아냄

문자열 포맷


나는 개인적으로 방법 4 가 편리하여 자주 사용한다.

profile
🏫 𝑲𝒚𝒖𝒏𝒈 𝑯𝒆𝒆 𝑼𝒏𝒊𝒗. / 👨‍🎓 𝑪𝒐𝒍𝒍𝒆𝒈𝒆 𝒐𝒇 𝑬𝒏𝒈𝒊𝒏𝒆𝒆𝒓𝒊𝒏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