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gresql join 은 항상 인덱스를 탈까?

Jae Min·2023년 9월 5일
0

pg join

1. 기본 개념

1) tb_rfq_file 테이블의 pk

postgres pk는 자동적으로 인덱스를 생성한다. (fk는 인덱스 생성 X)

2) tb_rfq_file 테이블의 index

복합 인덱스일 경우, 첫번때 인덱스 키가 조회조건에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 → 첫번째 키를 조회조건에 자주 사용하는 칼럼으로 세팅을 해야함(순서가 중요함)

file_type = A and file_id = B 가능

file_type = A and rfq_id = C 가능

file_id = B and rfq_id = C 불가능

3) tb_rfq_file 테이블의 FK 로는 인덱싱을 할 수 없다.

postgres의 fk 자동으로 인덱스를 생성하지 않는다.

4) 인덱스 생성 시 데이터를 정렬해서 저장하기 때문에 order by 에서 인덱스를 탈 수 있다.

5) postgres scan algorithm

  • Sequential Scan → full scan

  • Index Scan

  • Index Only Scan

  • Bitmap Scan

  • TID Scan

  • index 가 있다고 무조건 index scan 하는 것은 아니다 (ex. 100만개의 데이터 중에 99만개를 가져올때는 그냥 full scan 한다)

    select tf.file_id
    from tb_file tf where tf.file_id > 10;

    select tf.file_id
    from tb_file tf where tf.file_id > 100000;


2. 예시

원본

select *
from tb_rfq tr
         join      (select *
                    from tb_rfq_file trf
                             join tb_file tf on trf.file_id = tf.file_id
                    ) file
                   on file.rfq_id = tr.rfq_id
where                                         
    tr.status_type_id = 1
  and tq.rfq_id is null

  • pk로도 index 로도 index scan 을 할수가 없는데 왜 Index Scan 으로 분석할까?

    [ sorting by join table, joined table column ]

    select *
    from tb_rfq_file trf
             join tb_file tf on trf.file_id = tf.file_id
    order by trf.file_type, tf.file_id;

    index 의 첫번째 key 인 file_type 으로 sorting 하니까 인덱스를 타는건가…?

    [ sorting by join table column ]

    select *
    from tb_rfq_file trf
             join tb_file tf on trf.file_id = tf.file_id
    order by trf.file_type;

    join 이 걸려 있을 경우 join 주체 테이블의 칼럼으로 sorting 하려고 하면 index 를 안탄다

    [ sorting by joined table column ]

    select *
    from tb_rfq_file trf
             join tb_file tf on trf.file_id = tf.file_id
    order by tf.extension;

    이건 왜 타는거지…?

    join 대상자의 칼럼으로 sorting 을 할때 join 주체자의 PK 로 인덱스를 탄다…

    [ sorting by one table indexed key column ]

    	select * from tb_rfq_file trf order by trf.file_type;

    아무 join 없이 sorting 할때는 index 에 의해서 조회한다 →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항

    [sorting by joined table column & join with any column]

    select *
    from tb_rfq_file trf
             join tb_file tf on trf.create_date = tf.create_date
    order by tf.extension;

    joined table 의 column 으로 sorting 해도 join column 이 무관한 column 이면 full scan 한다.

    이로써 내릴 수 있는 결론!

    join, sorting 을 한다? → joined table 의 column으로 sorting + fk 로 join → join table 의 pk 들 중 한개로 index scan 을 한다

    → driving table, driven table 을 때때로 결정한다.

    → 인덱스 걸려 있는 테이블이 driven 으로 된다 일반적응로

    join table 의 index key 로 scan 안하는 이유 → joined table 과는 fk 로 관계가 맺어져 있기 때문에 pk 로 index scan 한다.

1차 개선

select *
from tb_rfq tr
         join      lateral (select *
                            from tb_rfq_file trf
                                     join tb_file tf on trf.file_id = tf.file_id and tr.rfq_id = trf.rfq_id
                            limit 1) file
                   on true
         join      (select *
                    from tb_rfq_subservice_type trst
                             join tb_type_service tts2 on trst.service_type_id = tts2.service_type_id
                    group by trst.rfq_id) sub_services on sub_services.rfq_id = tr.rfq_id
where                                  
    tr.status_type_id = 1
  and tq.rfq_id is null

여기서 index scan 하는 이유는?

lateral join 은 column의 특정 값을 정해 놓고 nested loop 이기 때문에 tr.rfq_id 가 정해진 상태이다

→ 하나의 값을 두고 scan 할때는 index scan 을 한다.

postgres index scan algorithm 에 의해서 결정 되는 듯 하다 (full scan : 데이터의 양이 많을 때, index scan : 데이터의 양이 그렇게 많지 않을 경우 / 데이터의 양이 많은데 index scan 하면 더 오래 걸릴 수 있다고 postgresql optimizer가 결정함)

→ 데이터의 양 및 분포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lateral join 을 쓸지 말지 잘 결정해야 한다


일반화를 위한 샘플 테스트

데이터 삽입 sp

-- big --
create procedure _insert_bulk_big(IN _range integer)
    language plpgsql
as
$$
declare
    _i    integer;
    max_v integer;
BEGIN
    select max(tjtb.id)
    into max_v
    from _tb_join_test_big tjtb;
        for _i in 1.._range
    loop
        insert into _tb_join_test_big(id, temp) VALUES (_i + max_v, (_i + _range) % 7);
    end loop;
end;
$$;

-- small --
create procedure _insert_bulk_small(IN _range integer)
    language plpgsql
as
$$
declare
    _i    integer;
    max_v integer;
BEGIN
    select max(tjts.id) into max_v from _tb_join_test_small tjts;
    for _i in 1.._range
        loop
            insert into _tb_join_test_small(id, big_id, temp) VALUES (_i + max_v, _i, (_i + _range) % 10);
        end loop;
end;
$$;
데이터 분산도 : 기준 테이블의 pk가 fk 테이블에 몇개정도 있는지

ex) [rfq테이블 총 100개, 견적서 테이블 총 100개] rfq A 하나에 견적서 두개가 달렸다? → 2% (2/100)

1. 데이터 분산도 10%

실행 쿼리 1

select * 
from 
	_tb_join_test_big tjtb 
join 
	_tb_join_test_small tjts 
on tjtb.id = tjts.temp;

쿼리 실행 분석 기준

  • 데이터의 양

    index scan 할 수 있는 테이블은 big table 밖에 없다 (PK)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00,0001,000

    driving table : small

    driven table : big

    small 의 데이터양이 적지 않아 big table 먼저 인덱스 scan 하고 그거에 대해서 small table 을 full scan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00,00010,000

    small 의 데이터양이 적지 않아 big table 먼저 인덱스 scan 하고 그거에 대해서 small table 을 full scan

    driving table : big

    driven table : small

    nested loop 을 이용한다는 것은 driving table 의 row 가 현저히 적다는 것이다 (row 가 많다면 그만큼 여러번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음) → 여기서 driving table 은 driving table 의 index table!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00,0001,000,000

    1. join 조건에 index 가 걸려있는 테이블(A) 보다 그렇지 않은 테이블(B)의 rows 수가 현저히 적으면 B를 먼저 scan하고 (driving table) A를 추후에 index scan 한다.

      optimizer가 Merge join 이 더 빠르다고 판단

    2. 그 반대인 경우 A 의 index table 을 scan 하고 B 테이블을 full scan 한다.

      optimizer가 nested loop 이 더 빠르다고 판단

2. 데이터 분산도 0% → 거의 1:1 매칭이다

실행 쿼리 1

select * 
from 
	_tb_join_test_big tjtb 
join 
	_tb_join_test_small tjts on tjtb.id = tjts.big_id;

쿼리 실행 분석 기준

  • 데이터의 양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10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0010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00,0001,000,000

    driving table : big

    driven table : small

    hash table : 상대적으로 row 수가 적은 테이블을 대상으로 hash table 을 만들고 row 수가 큰 테이블을 scan 하면서 해당 row에 맞는 row를 hash table에서 찾는다

    일반적으로 인덱스 테이블로는 해시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b tree 테이블을 사용한다고 한다 → 인덱스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저 방법이 더 빠르니 optimizer 가 저 방법을 선택하지 않았을까

실행 쿼리 2

select * 
from 
	_tb_join_test_big tjtb 
join 
	_tb_join_test_small tjts on tjtb.id = tjts.big_id **where tjtb.id > 10;**

쿼리 실행 분석 기준

  • 데이터의 양

    1.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10

    2.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0010

    3.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00,00010

      where 조건절에 index가 걸려있어도,

      1,000,000 전까지는 그냥 full scan 이 더 빠르다고 판단했지만, 1,000,000 이후로는 index scan 이 더 빠르다고 판단함

      optimizer 가 nested loop 을 이용해서 조회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판단

    4. 하지만 여기서 small table 의 row를 증가시켜보자

      tabletb_join_test_bigtb_join_test_small
      row count1,000,0001,000,000

      데이터수가 적당해야 index scan 을 했을 경우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너무 많으면 index scan 이 더 오래걸린다고 판단하고 hash join 을 통한 full scan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5. 추가적으로 small table 에 index 를 걸어주면?

      select * from 
      	_tb_join_test_big tjtb 
      join 
      	_tb_join_test_small tjts on tjtb.id = tjts.big_id 
      where 
      	tjtb.id > 10 **and tjts.temp > 4;**

      더 효과를 볼 수 있는 small table 먼저 index scan 하고, big table 은 그냥 full scan 한다.

    6. index가 걸려있는 where 조건절의 범위를 줄여보자

      select * 
      from 
      	_tb_join_test_big tjtb 
      join 
      	_tb_join_test_small tjts on tjtb.id = tjts.big_id 
      where 
      	**tjtb.id > 500000 and tjts.temp > 4;**

      이 경우에는 big table 을 먼저 full scan 하고 small table 을 index scan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5 예시와 다른점은 where 조건절에서의 big table 의 pk 범위인데

      위에서는 10보다 큰 범위를 조회하면 거의 99%을 조회해야 한다. 하지만 6 예시에서는 50%만 조회 하면 된다.

      driving table을 최대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big table 먼저 조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데이터의 양 및 분포도에 따라 postgresql optimizer 가 driving table 과 driven table 을 결정한다.

결정하는 방향성은 index 를 탈 수 있는지, 탔을 때 데이터가 현저히 줄어드는지, full scan 을 했을 때 어떤 테이블의 row 수가 적은지 등등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그 후에 어떤 join algorithm 을 선택하는지 또한 optimizer 의 소관이다.

  • hash join
  • merge join
  • nested loop

중에 어떤 것을 쓸 지는 indexed scan 된 테이블 혹은 full scan 된 테이블간의 관계성을 보고 결정한다.

처음에 스키마를 잘 설계 하는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운용하고 있는 서비스의 특성 및 스키마의 성질에 따라 인덱스를 잘 설계 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조건절에서 indexed key 를 사용하고 데이터를 전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면 최대한 제한을 걸어서 조회하면 높은 효율을 볼 수 있다. 때에 따라 lateral join 이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는 것 처럼

profile
자유로워지고 싶다면 기록하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