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개요

이기태·2024년 2월 17일
0

AWS

목록 보기
1/62

AWS란 무엇인가..

  •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렛폼 ->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스토리지에 언제든 데이터를 넣고 빼서 사용
  • GCP, Azure같은 클라우드 플렛폼도 있지만 가장 오래된 클라우드 플렛폼이다.
  • 여러 스타트업, 중소기업에서도 사용중.
  • AWS만의 융통성 있는 컴퓨팅 비용과 쉬운 가이드를 제공한다.

AWS 활용

1. 실시간 데이터 처리 (real-time)

  • AWS에서 제공하는 IoT리소스로 수집해 실시간 대시보드 구현이 가능하다.
  • 자동차 센서로 순간 속도, GPS데이터, 주행거리등의 주행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보낼 수 있다.

=> AWS는 바로 스토리지에 보관할지, 이 raw data를 전처리를 거쳐 보관할지, 데이터를 읽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모니터링 과정을 포함할지등의 의사결정을 AWS로 구현할 수 있다.

2. 배치 데이터 처리 (batch data)

초당, 분당으로 처리하는 실시간 데이터와 달리, 데이터를 모아 그룹으로 묶어 한 번에 처리한다.

AWS만의 장점

1. 사용자 친화적

  • 몇번의 클릭으로 간단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다.
  • 특별한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파이프라인을 수정할 수 있다.
  • AWS 관련문서와 정보가 많아 쉽게 접근 가능하다.

2. 유연성과 편의성

  • 원하는 OS, 언어, 웹 애플리케이션 등 파이프라인 구축 시 필요한 요소를 골라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C2를 이용해 OS, 애플리케이션등 다양한 옵션을 선택 가능하고, 새 인스턴스를 만드는 것 뿐 아니라 새로운 플랫폼이나 시스템에 마이그레이션해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플랫폼과 새로운 플랫폼 동시에 작업할 수 있게 한다.

3. 보안

  • AWS는 네트워크 보안층이 데이터를 감시하고 있고, AWS 보안팀이 관리하고 있다
    이로인해 걱정없이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4. 가성비

  • AWS는 사용하는 서비스와 사용한 만큼 돈을 내는 paygo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온디멘드, 스팟 인스턴스같은 다양한 정책이 있고, 언제든 리소스를 생성, 종료 할 수 있다.

5. 확장성

  • 오토 스케일링이라는 서비스는 인스턴스에 자동으로 가상머신을 추가해 기능을 업그레이드 하면서 인스턴스의 셧다운 문제를 방지한다.
    반대로 인스턴스 능력보다 데이터가 적게 들어오면 인스턴스 기능이 다운그레이드 된다.
  • 새로운 인스턴스 생성에 매우 용이하고 서버 구축이 빠르고 쉽다.

리전 선택 요인

  1. 법률 준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때 국가 내에 데이터가 보관되어야 할때 -> 자국 리전 사용
  2. 지연 시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 미국 사용자가 많으면 미국리전 사용
  3. 리전마다 지원하는 서비스가 다름.
  4. 요금:리전마다 요금이 다름

리전마다 가용 영역이 존재
대부분 3개의 리전
최소 3개에서 최대 6개의 리전 존재

ex) 시드니 리전은 3개의 가용 영역이 있음.
ap-southeast-2a, ap-southeast-2b, ap-southeast-2c

각각의 가용 영역은 개별적인 데이터 센터로 이루어짐.
이 가용 영역은 재난 발새에 대비해 분리되어있다.

리전 테이블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음.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