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A_ITA(3)

이기태·2024년 4월 12일
0

CCNA

목록 보기
4/17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TCP/IP 5계층
    Layer 5: 애플리케이션 계층
    ----- upper layer -----
    Layer 4: 전송 계층(TCP/UDP)
    Layer 3: 인터넷 계층(ICMP, IPv4/v6, ARP/RARP)
    ----- under layer -----
    Layer 2: 네트워크 계층
    Layer 1: 물리 계층
    -----------------------
  • 프로토콜
  1. TCP 프로토콜

    • 연결: 3-way-handshake(S-SA-A)
      연결 끊기: 4-way-handshake(FA-A-FA-A)
    • 데이터 스트림 서비스: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데이터 분할/재조립 처리
    • 흐름 제어
      • stop and wait: 한개씩 보내는 것
      • sliding window: 윈도우 사이즈 만큼 데이터 송수신 -> 처리율, 효율 증가
    • 재전송 서비스(Ack): 송신한 세그먼트에 Ack을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세그먼트를 재전송
    • 오류 제어 & 오류 정정: 체크섬(Checksum)을 이용해 세그먼트 재전송
      • CRC코드?
    • 흐름제어: 슬라이딩 윈도우를 사용해 송수신 시스템간 윈도우 크기만큼 세그먼트를 전송하고 Ack을 수신
    • 혼잡 제어: 혼잡제어 윈도우(congestion Windows)를 이용해 혼잡 발생시 윈도우 사이즈를 변동해 혼잡 회피
    • Control flag: 12비트의 플래그 신고
      URG: 긴급 처리 요청, ACK: 응답, PUSH: 데이터 전송, RST: 강제 연결 종료, SYN: 통신 연결, FIN: 통신 종료, ...
    • 대표적인 TCP 프로토콜 애플리케이션: HTTP/HTTPS, SSH, Telnet, FTP, SMTP, POP3/IMAP4,...
    • TCP 헤더(20 ~ 60 bytes)
  2. UDP 프로토콜

  • Layer 4 프로토콜
  • 비연결 지향성 프로토콜
  • BE(Best Effort) 서비스( 최선을 다해 전송하지만 보장하지않는 방식)
  • 오류 검사(checksum)
    손상된 데이터는 drop된다. 단, 재전송하지 않음.
  • 단순한 요청/응답만 실시하는 서비스, 실시간 트래픽 전송 서비스(영상, 음성)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에 유리
  • 대표적 프로토콜
  1. IP 프로토콜
  • Layer 3 프로토콜
  • 비연결 지향성 프로토콜
  • BE(BestEffort) 서비스
  • (송신: 조각)Fragmentation/(수신: 재조립)Reassembly
  • 로컬 환경에서 원격 환경으로 데이터 전송 담당(라우팅)
  • IP 헤더
  • 분석
    • Version:
    • Header Length:
    • Type of Service: QoS(Quality of Service)
    • Identification
    • Flag
    • Flagment Offset
    • TTL(Hop count)
      Cisco IOS: 255, Windows: 128, Linux: 64
    • protocol
    • Header Checksum
    • Source IP
    • Destination IP
  1.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프로토콜
  • 1) ICMP 프로토콜 특징
    • Layer 3계층 프로토콜
    • IP 프로토콜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메세지 교환 프로토콜
    • ex)
      • 요청: ICMP echo request(8), ICMP echo reply(0)
      • 에러: ICMP destination unrech(3)
  • 2) ICMP 프로토콜 대표적인 명령어
    • ping
      ping 10.1.1.1
      ping -l 4000 10.1.1.1
      ping -n 2 10.1.1.1
    • traceroute, tracert
      tracert 10.1.1.1
      tracery -d 10.1.1.1 //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확인하지 않는다.
  • 3) ICMP 헤더
    • Type: echo request(8), echo reply(0), est. unrech(3)
    • Code:
    • Checksum
    • Identifier
    • Sequence number
    • Data
  1.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프로토콜
  • Layer 3 프로토콜
  • 목적지 IP 주소에 대한 MAC 주소를 학습하는 프로토콜
  • 만약, 목적지 IP 주소에 대한 MAC 주소의 정보가 ARP 테이블에 없다면
    • => ARP request(broadcast)
    • => ARP reply(unicast)
  • ARP 헤더
    • Hardware Type: Ethernet
    • Protocol type: IPv4(0x0800)
    • Hardware size: 6
    • Protocol size: 4
    • Opcode: request(1), reploy(2)
    • Sender MAC address
    • Sender IP address
    • Target MAC address
    • Target IP address
  1. 이더넷 프로토콜
  • 프로토콜
    • IEEE 802.2(LLC)
    • IEEE 802.1(Bridging)
    • IEEE 802.3(MAC)
  • 이더넷 헤더
    • Destination MAC: 목적지 MAC 주소
    • Source MAC: 출발지 MAC 주소
    • Type: ARP, IPv4, IPv6
  • [참고]
    MAC 주소 체계
    • 유니캐스트: 0000.0c00.1122
    • 브로드캐스트: ffff.ffff.ffff
    • 멀티캐스트: 0010.5exx.xxxx (스트리밍 서비스)
  1. 이더넷 전송 방식 유형
  • Half-Duplex: 단방향 통신(무선환경, 무전기)
  • Full-Duplex: 양방향 통신(유선환경)
  1. Physical Layer - Cable
  • 랜 전송 매체
    • 구리선(Coxial Cable)
    • 꼬임선(Twist Pair Cable)
      • UFP(Unsheild Twist Pair Cable)
        CAT 5: 10/100M
        CAT 5e: 10/100/1000M
        CAT 6: 1G
        CAT 7: 1G
      • STP(Sheild Twist Pair Cable)
    • 광케이블(Fiber Optical)

OSI 참조 모델

  • OSI 참조 모델
    Layer 7: 애플리케이션 계층
    Layer 6: 표현 계층
    Layer 5: 세션 계층(PDU)
    ---------------- 상위 계층: 서비스 구현 & 데이터 생성 담당 => Apllication 담당
    Layer 4: 전송계층(Segment)
    Layer 3: 네트워크 계층(Packet, IP Datagram)
    Layer 2: 데이터 링크 계층(Frame)
    Layer 1: 물리 계층(bits)
    ---------------- 하위 계층: 데이터 전송 담당 -> 전송 장비, 전송 프로토콜, OS 담당

  • 애플리케이션 계층

    • 사용자에게 서비스가 구현/제공되는 계층
    • OS 기반에서 응용 프로그램 & 응용 프로토콜 담당
    • 프로토콜: HTTP, SMTP, FTP, Telnet, ...
  • 표현 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서비스가 구현되도록 데이터 해독/압축/해지/인코딩/디코딩
    • 프로토콜: ASCII, MPEG, JPEG, MIDI, ...
  • 세션 계층(PDU(Protocol Data Unit)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논리적인 연결 담당(다양한 옵션 결정)
    • 프로토콜: NetBIOS, SAP, SDP, NWLink, ...
  • 전송계층(Segment)

    • TCP/UDP, SPX
  • 네트워크 계층(Packet, IP datagram)

    • IP, IPX
  • 데이터링크 계층(Frame) --> ETH | IP | TCP/UDP | DATA

    • Ethernet, Token Ring, FDDI, AppleTalk
  • 물리 계층

    • 전기적인 신호 처리
    • 실제 물리 장치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