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shell에서 flutter doctor 명령어를 입력해서 잘 설치가 되었는 지 확인한다.
VSCode에서 터미널에 powershell에서 'flutter doctor'를 입력하면 잘 설치가 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견될 수 있다.
최근에 PC를 밀고 새로 설치했는데 이번엔 Doctor가 2카테고리의 이슈를 발견했다고 나온다.
하나는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를 입력하면 해결된다.
다른 하나는 Visual Studio를 설치하지 않아서 생긴 문제이다.
Visual Studio를 설치할 때 "Desktop development with C++"을 같이 설치해야 한다.
Android toolchain을 설치해야 한다.
공식문서를 토대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안드로이드 SDK,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사용.
안드로이드 플랫폼 종속성을 사용하기 위해 Android Studio를 설치한다.
Android Studio가 설치되었다고 체크표시로 바뀌는데 툴체인은 그대로 X 표시가 되어있다.
첫번째꺼는 체크만하면 잘 해결되는데, 두번째 Android license status unknown. 이 문제다.
Solved
JAVA_HOME 경로가 잘못되어서 라이센스를 실행할 수 없다는 경고를 보게됨.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쓰면서 JAVA_HOME 환경변수가 문제인 것 같아서 JAVA_HOME의 경로를 변경함.
▼ 노력의 흔적들 ▼
(22.05.29 - win11에서 처음으로 블루스크린 발생으로 인한 reset... 후 환경설정)
flutter doctor로 검사해보면 위와 같은 실행문을 Run하라는 경고문이 나온다.
실행해도 별 차이가 없는데,
이 부분에서는 File - Settings에 가서 Android SDK의 SDK Tools를 추가해준다.
아래의 화면과 같이
발견되는 issue들을 잘 해결하면 flutter doctor를 입력했을 때,
No issues found!이 뜬다.
Android Studio에서 Device Manger에서 Create device를 한다.
default로 Pixel2로 포커싱 되어있다.
Pixel 2로 설치하고 System Image는 R을 클릭하고 설치한다.
가상기기를 플레이하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까지하면 에뮬레이터 설치까지 완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