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공부
- 통신과 HTTP
- HTTP특징인 stateless를 설명
- HTTP의 Request와 Response의 구조
- HTTP Request Methods
- HTTP request의 종류를 알고 서로의 차이점
- 대표적인 response의 status code의 종류
1. 통신과 HTTP
- Hyper Text
-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 Hyper Text =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어 있음
- Transfer
- 전송하다 = 물건이나 편지 따위를 보내다
- HTML로 만든 웹페이지 문서(파일)를 보낸다
- Protocol
- 컴퓨터끼리 어떻게 HTML 파일을 주고 받을 지에 대한 소통 방식 또는 약속
How to work?
사용자(request) <-----------------> 서버(response)
- 구조 : Request / Response (요청/응답)
- 소통의 핵심은 요청과 응답입니다. 인간의 소통방식이 컴퓨터꺼리의 소통 방식에도 적용됩니다. 말이 아닌 메세지의 형식으로 요청하고 응답합니다.
- 특징 : Stateless
- HTTP 개별 통신은 모두 독립이어서, 과거의 HTTP 통신의 결과(상태)를 보존하지 않습니다.
- State(상태) + less(없음) : 상태를 저장하지 않고 통신
- 장점: 저장공간이 필요 없음 / 많은 요청에 대해 처리할 수 있음
- 단점: 매 통신마다 사전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아서 요청을 보내야 한다

- Stateful 이란?
- 상태를 저장한다


HTTP - Request의 메세지 구조
- 요청과 응답 모두 메세지의 형식입니다. 요청 메시지의 정해진 구조를 파악해야 합니다. / 메타데이터(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 요청과 응답 모두 메세지의 형식입니다. 응답 메시지의 정해진 구조를 파악해야 합니다.
2. HTTP Request Methods
- GET
- 데이터를 받아오기만 할 때 사용
- 웹페이지에 접속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올 때 사용
- POST
- 데이터를 생성/수정 할때 사용
- Body에 담는 내용이 핵심
- DELETE
POST - GET - DELETE
장바구니 담기 (해당하는 게시물을 담아줌)
- ex) POST /shop/bag HTTP 1.1(축약된 요청 메세지) ---> HTTP/1.1/201 SUCCESS(축약된 응답 메세지)
HTTP Request Methods-status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