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밖에서도 동작할수 있게 하는 런타임환경Node.js가 제공하는것이 npm(Node Package Manager)npm이란 node.js로 만들어진 필요한 모듈을 다운받고 관리해줌. 다른 개발자가 만들어둔 유용한 nodeja로 만들어진 툴로 가져다

https://react.dev/learn컴포넌트의 return()에서는 반드시 하나의 태그로 싸여있어야한다태그대신 <> </> Fragment를 사용할수 있다.Class명을 ClassName = "Class명"javaScript코드를 JSX 문법안

imageimageimageimageimage

image

index.js에서imageApp.js에서image첫페이지imageimage두번째페이지(/abuout를 추가한 모습)image

useEeffect(()=>{},\[]) ==> 배열이 비어있을 경우에는 compronent가 실행될때 처음 한번만 실행된다.useEeffect(()=>{},products) ==> component가 실행될때 처음 한번 실행된후 products의 값이 바뀔때마다 us

input안의 내용이 useState의 상태값과 매칭되도록 맞춰주어야한다.e ==> 이벤트 받음 상태의 값을 변경하기 위해 setName 함수를 사용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상태값으로 적용하기위해 e.tartget.value를 사용한다.

리액트에 폰트어썸 연결하기

홈페이지를 만들 때 기본적으로 많은 url이 사용 된다 근데 그럴 때마다 라우터의 Link, Navigate 등으로만 처리하는데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만약 쇼핑 홈페이지가 있고 내가 원하는 상품의 디테일 페이지에 가고 싶은데 그 상품의 디테일 페이지를 다 다른 url

Bootstrap 설치css에 연결

\--> 작은 서버를 만드는것 --> api 소통할때 제일 많이 쓰이는 파일타입이다. 1)2) 확장명이 .json인 파일을 만든다 --> 반드시 Root에 만들어야한다.json 서버 실행 --> 기본적으로 3000번에서 시작하는데 react가 3000번을 사용하고 있기

url 주소에서 파라미터는 제일 뒤에 있는 1이라는 숫자이다. id값이 들어와 있다.파라미터값을 읽어와야할때 useParams hook이다.